•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일만 해양환경의 특징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Yeongil Bay,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3.02
23P 미리보기
영일만 해양환경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 26권 / 1호 / 11 ~ 33페이지
    · 저자명 : 이문옥, 김종규, 김병국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일만 해양환경과 관련하여 지난 50여년간 발표된 한국학술지인용색인 및 과학인용지수 논문 96편을 분석하여 영일만 해양환경의 시대에 따른 변천과정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영일만은 형산강과 냉천 등 하천수 유출과 하층의 해수 유입에 의한 밀도류가 형성되거나 쓰시마난류와 동해 고유수가 유입하여 2층류가 형성되었다. 또한 이들 하천수와 해류가 만내 염분과 수온에 미치는 영향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내 표층 흐름은 바람과 해류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조석잔차류는 반시계방향의 순환을 나타내었다. 만내는 포항신항의 고유주기와 유사한 항만 부진동이 존재하고, 특히 영일만 신항 건설 후 일부 구간에서는 파의 진폭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부진동 저감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일만은 포항시와 포항공단, 그리고 형산강 하천수를 통한 질산 질소의 유입 등에 의해 내만을 중심으로 수질 오염이 심화되고 있었다. 퇴적물은 대부분 사질로서 입도 조성은 해안선 부근은 조립질인 반면, 만 중앙부는 세립질이었으며, 이러한 분포는 해저지형과 반시계 방향의 해류 패턴에 의한 것으로 추론되었다. 포항 구항 주변 퇴적물은 중금속 오염이 매우 심각하였으며, 일부 미량 유기화학물질 농도는 저질 가이드라인을 초과하여 저서 생물에 잠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 종조성은 규조류가 우세하였으며, 우점종은 Thalassionema nitzschioides와 Leptocylindrus danicus이었다.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와 현존량, 해조류 종수 등은 해에 따라 다소 기복은 있었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출현한 부유성 난이나 자치어를 포함한 어류 중 우점종은 멸치와 까나리이며, 패류 중 우점종은 피조개와 아담스백합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을 비롯한 해조류, 어류 등 생물상(종수, 밀도, 어종 등)은 과거에 비해 큰 변화는 없었으나, 일부 퇴적물에서 해조류나 어류 성장을 저해하는 다이옥신 유사활성과 발정성의 활성을 나타내는 유기화합물과 내분비계교란물질이 발견되었다. 이들 오염물질 농도는 주로 인간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산업단지와 만내 대도시 주변에서 높았다. 따라서 영일만 생물자원 보전을 위해서는 형산강과 냉천 등 하천수에 의한 오염부하는 물론, 산업시설과 생활하수 유래의 오염물질 유입을 적극 차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We reviewed 96 academic essays issued for the past fifty three years to find out the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Yeongil Bay, located at the eastern part of Korea.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f Yeongil Bay appeared to be affected by outflows of the freshwater from Hyeongsan River or Naeng-cheon and inflows of Tsushima Warm Current and East Sea Proper Water. As a result, density currents or two-layered flows were established in the bay. The surface flows largely received the influence of winds and currents, and in particular, residual currents indicated anti-clockwise circulations in the bay. There ex-isted secondary undulations similar to natural period of Pohang New Port in the bay, and in particular, the amplitude of wave turned out to be increased after the completion of Yeongil Bay New Port. Thus, it was judged that some measures are urgently required for seiche phenomena. The water quality of the bay has been deteriorated around the inner bay such as Pohang ports due to Pohang city, industrial complex, and nitric acid nitrogen from Hyeongsan River. Sediments consisted of mainly sand and the grain was coarse near the coast while it was fine in the middle of the bay presumably due to bottom topography and an-ti-clockwise circulation of seawater. In particular, the neighborhood of Pohang old port was seriously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and part of the concentrations of trace-organic pollutant exceeded the sediment quality guideline, suggesting a negative effect on benthos. Diatoms prevailed in species of phy-toplankton and Thalassionema nitzschioides and Leptocylindrus danicus dominated among them. The appearance and its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as well as algae did not reveal a big difference even though there were slight fluctuations with years. Most dominant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us and Ammodytes personatus among floating eggs and juvenile of fish while Scapharca broughtonii and Callithaca adamsi dominated among shellfish. These biota (number and its density of species for fish and algae), including phytoplankton, did not fairly change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organic com-pound and endoctrine disrupting chemicals have been found in some sediments, indicating dioxin-like ac-tivity and estrogenic activity which are known to hinder the growth of fish or algae. In particular, concen-trations of these pollutants appeared to be higher in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and large cities in the bay. Therefore, it is judged that we should positively obstruct inflows of the pollutants that originated from the freshwater of Hyeongsan River or Naengcheon as well as industrial or domestic sewage in order to preserve marine biological resour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