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滿鮮歷史地理調査部와 고대 ‘滿鮮歷史地理’ 연구 (The Study of Manseon Historic–Geographical Research Center on the Ancient History and Geography of Manchuria and Joseon)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5.07
47P 미리보기
滿鮮歷史地理調査部와 고대 ‘滿鮮歷史地理’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75호 / 131 ~ 177페이지
    · 저자명 : 박찬흥

    초록

    滿鮮歷史地理調査部는 白鳥庫吉의 요청으로 1908년 1월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초대총재 後藤新平이 설치했다. 後藤新平은 “文事的 시설을 가지고 他(國)의 침략에 대비하고, 일단 유사시에는 武斷的 행동을 돕는 便(益)을 아울러 강구해 둔다.”는 뜻의 ‘文裝的武備’를주장하며 식민지 경영에 있어서 舊慣制度調査를 중시했다.
    만선역사지리조사부에서 본격적으로 ‘만선사’ 연구가 진행되었다.
    白鳥庫吉이 주임이었고, 箭內亙․ 松井等․ 稻葉岩吉․ 瀨野馬熊이 ‘만주역사지리’를, 池內宏․ 津田左右吉이 ‘조선역사지리’를 각각 담당했다. 이들은 모두 30대 초의 젊은 연구자들로서 白鳥庫吉의 권유 및추천으로 조사부에 참여하였다. 조사부에는 풍부한 연구비가 지급되어, 좋은 환경에서 자료수집과 연구가 진행되었다. 조사부는 營利를 목적으로 하는 만철의 취지와 부합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1914년 3월 폐지되었지만, 만철의 후원 아래 동경제국대학으로 연구가 이관되었다.
    만선역사지리조사부에서 『滿洲歷史地理』 제1 ․ 2권, 『朝鮮歷史地 理』 제1 ․ 2권, 『文禄慶長の役』 正編 第1 등 5책을 발간했다. 『만주역사지리』에서는 ‘만주사’의 왕조가 ‘고구려–발해–遼–金–元–明代의 만주–淸’의 순서로 이어졌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인식은 이후에 그대로계승되었다. 이 책에서는 만주에 존재했던 각 왕조의 강역과 교통로, 전쟁 시의 지리 등을 다루었고, 특히 ‘지리’적인 특성들을 잘 나타냈다. 津田左右吉이 저술한 『조선역사지리』는 고조선부터 고려시대까지 여러 국가의 영역과 경계, 중국 왕조들과의 경계, 전쟁로 등을 서술했는데, 『만주역사지리』에 비해 체제와 내용이 체계적이지 못하다.
    池內宏이 저술한 『文禄慶長の役』은 임진왜란의 배경과 전쟁 이전의상황까지만을 서술했고 일본 자료를 많이 이용하였다. 이것은 자료수집 및 정리의 한계, 저자의 역량 문제 등에서 비롯된 것이다.
    『만주역사지리』 제1권은, 漢四郡의 위치, 강역 및 이동에 대해 서술한 뒤, 漢代부터 남북조시대까지 왕조별로 만주지역에 설치된 중국郡․縣 및 그 바깥의 烏桓∙ 鮮卑∙ ‘餘∙ 挹婁∙ 高句麗∙ 濊貊∙ 勿吉 등의 위치와 강역, 수․당과 고구려의 전쟁로, 발해의 강역에 대해 서술하였다. 만주에서 중국세력이 영향력이 어느 지역까지였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주요한 서술 관점이었다. 『조선역사지리』 제1권은, 고조선과중국의 경계에 있는 浿水의 위치를 규명하고, 삼한의 강역, 삼국 간의경계와 전쟁 지역, 후백제의 강역까지 시대순서로 고찰하였다. 『삼국사기』의 초기기록을 신뢰하지 않고, 백제․신라․가야의 영역과 국경선을 고찰할 때 임나일본부설을 인정한 전제 위에서 서술했으며, 고구려 광개토왕과 장수왕이 한반도에서 활동한 부분만을 규명하였다

    영어초록

    The Manseon Historic–Geographical Research Center was established by Goto Shimpei, the first general director of the Southern Manchuria Railroad Corporation, upon request by Shiratori Kurakichi. Goto Shimpei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ustom investigation of land examination, etc. for colonial management by popularizing the term “Shinjang–sik–mujang”. “Shinjang–sik–mujang” shall refer to preparing for invasions into lands (nations) with study facilities and in emergencies, taking additional sides (interests) to help forceful actions.
    On January 1908 when the Manseon Historic–Geographical Research Center was established, the study of the Manseon history proceeded in earnest. Shiratori Kurakichi was the responsible manager, and Yanai Watari, Matsui Hitoshi, Inaba Iwakhichi, and Seno Umakuma were responsible for the Manchurian history and geography. And from April 1908, Ikheuchi Hiroshi and Tsuda Sokichi were responsible for the Joseon history and geography. All of them were young researchers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and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division with the advice and recommendation of Shiratori Kurakichi. The research division was provided with plenty of research funds. On March 1914, the Manseon Historic–Geographical Research Center ceased to exist on the ground that it did not conform to the objective of the Manchuria Railroad, which was to pursue business interests.
    The Manseon Historic–Geographical Research Center published a total of five books including the volumes 1 and 2 of The Manchurian History and Geography, the volumes 1 and 2 of The Joseon History and Geography, and the First Edition No. 1 of The War of Bunrok–Keichyo.
    The Manchurian History and Geography considered that the dynasties of the Manchurian History went in the order of Goguryeo, Balhae, Liao Dynasty, Jin Dynasty, Yuan Dynasty, Ming dynasty, and Qing dynasty.
    It is the most essential recognition that has become the center of the subsequent studies for the Manchuria History. The main themes of the Manchurian History and Geography were territories and transportation roads, geography at time of wars, etc. of each dynasty that have existed in Manchuria. Each theme vividly showed the features of geography by including maps without any omission. The Joseon History and Geography written by Tsuda Sokichi described the areas and boundaries of various countries, the boundaries of Chinese dynasties, roads at time of wars, etc. ranging from the ‘Kojoseon’ era and the ‘Korea’ era.
    However, its system and content is not systematic compared to the Manchurian History and Geography. The First Edition No. 1 of The War of Bunrok–Keichyo written by Ikheuchi Hiroshi described the backgrounds of the Japanese invasion called the Imjin War and the conditions prior to the war. It focused on Japanese materials for the ears before the Imjin War without handling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the entire Joseon era. It resulted from the limits of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materials and problems in the author's ability, etc.
    The volume 1 of The Manchurian History and Geography described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Manchuria by era from the Chinese Han era until the Balhae era. Joseon of the Chinese Han described the locations, territories, and movements of the Han4gun. From the Manchuria of the Chinese Han era to the Manchuria of the era of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locations and territories of the Chinese provinces and counties established in the Manchurian areas were closely studied for historical truths and arranged; and the locations and territories of Ohwan, Seonbi, Buyeo, Eumnu, Goguryeo, Yemaek, and Mulgil located outside of the Chinese provinces or counties were described. By and large, it explained the extent to which the influence of the The volume 1 of The Joseon History and Geography started from reviewing the boundaries of Kojoseon and China by clarifying the location of “Paesu,” and studied the territories of the Three Hands, the boundaries and war areas, and national territories among the Three States, and the territories of Hubaekje in the order of eras. Without relying on the early records of Samguk Sagi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it made descriptions under the premise that the Imnailbonbuseol(the theory of Japanese Headquarter's Control of Imna) should be recognized, in studying the areas and boundary lines of Baekjei, Shilra, and Gaya, and clarified only the portions of activities of the King Gwanggaeto and the King Jangsu in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