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화도 출토 고려 후기~조선 전기 막새의 성격 (Features of Roof-end tile excavated from Ganghwado Island in Late Goryeo~former part Jose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0.08
29P 미리보기
강화도 출토 고려 후기~조선 전기 막새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63호 / 199 ~ 227페이지
    · 저자명 : 이상규

    초록

    강화지역은 고려 후기 몽골의 침략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고려의 수도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는 고려 수도인 개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어려운 현재에 있어서 중요한 연구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강화도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는 개발행위에 따른 구제발굴 및 고려 왕실 무덤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강화도 내에서 조사되는 유적 중 다수의 사례에서 고려 시대 유구가 확인되고 있으며, 기와의 경우 강화 선원사지를 비롯하여 고려 왕릉 부속 건물, 궁전지로 추정되는 관청리 일대의 건물지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강화 선원사지, 강화 곤릉 이외에 8개 유적에서 확인되는 고려 시대 막새를 중심으로 기와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려 시대 사용된 막새는 제작기법이 조선 시대와 유사하게 정형화된 형태이며, 특징적인 문양인 일휘문과 범자문 등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강화지역 출토유물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수막새에 사용된 문양으로는 연화문이 시문 된 형태가 가장 많이 확인되고 있으며, 일휘문, 범자문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연화문의 경우 꽃잎의 형태나 표현양식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가 보고되었으나 특징적인 부분은 자방의 표현 방법이 일휘문의 반구형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일휘문이 12세기 고려 막새의 대표적인 문양이라는 점을 생각할 때 과도기적인 성격이 아닐까 추론해본다. 일휘문의 경우 비교적 사용 시기가 명확한 강화 곤릉이나 능내리 석실분에서 주로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외에도 선원사지나 고려 시대 건물지로 비정되는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범자문 막새는 연화문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예가 선원사지와 용장사지 사역 내에 위치한 국화리 463-1․3번지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다. 두 유적에서 출토되는 수막새의 경우 표현양식이 매우 유사하나 시문 된 범자의 글귀는 다른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유사한 형태가 양주 회암사지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강화도에서는 장방형의 모양이 활처럼 휘어지는 호장형과 역삼각형의 드림새에 내곡이 나타나는 형태가 확인된다. 호장형의 경우 일휘문과 당초문, 초화문, 모란문 등이 시문 되는데 이는 수막새의 일휘문, 연화문 등과 조합을 이뤄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남아있는 등기와의 타날문양이 확인되는 예도 있어 평기와와의 연관 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으며, 등기와의 접합 각도는 직각이다. 역삼각형의 모양을 띠는 암막새는 연화문, 범자문 등이 확인되고, 등기와의 접합 각도가 둔각을 이뤄 호장형에 비하여 후대의 제작 속성을 보인다.

    영어초록

    Ganghaw area was temporarily responsible for the role of the capital because of Monggol invasion, This means that the area is important because Gaseng, the capital of Goryeo is difficult to do archaeological survey. In Ganghaw we can see the excav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activity and the study of Goryeo royal tombs. The remains in Ganghaw is almost made in Goryeo. In case of the roof tile we can find it in Senwon temple site, the additional building of Goryeo kings and the building of palace in Ghancheng-ri. In here I want to see the change of the roof tile based on remains in Goryeo period finding in 8 remains aside from Ganghwa Senwon temple site and Gon tomb in Ganghwa.
    The remains in Goryeo was similar to Joseon’s i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we can find the unique pattern, form Ilhi-form, Bumja-form. In Ganghwa there were the similar remains. The pattern in Sumaksae was almost Yeonhwa form and also there was Senwon temple site. In case of Yeonhwa form, the shape of the petal and the way of the expression was various but the shape of Jabang was similar with the semicircle of Ilhi-form. After 11 century it would be the typical one. In case of Ilhi-form we can find in Gon tomb, Neungnaeri tomb which had the clear using time. Also we can find it in 463-1, 3. The remains in both area was similar but the phrase in remains was different. This was similar with the site of Hoiam temple in Yang ju. In Ganghwa we can see the shape of Hojang which is the arched arrow and the inverted triangle. Aside from it we can find that in the building site of Gorey area. The example of the combination with the Bumja and the Yeonhwa was in Senwon temple site and Younghwa temple site. In Hojang form it was carved on Ilhimun, Yeonhwa form. Also we can see tanal form in the roof tile. The angle of connection in Deung roof tile is the acute angle. The Ammaksae which have the shape of the inverted triangle was in Yeonhwa form and Bumja form and its connection angle was the obtuse. This means that it was made after Hojang 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