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전기 한양도성 막새의 변화양상 (Changing Aspects of Roof-end Tiles in Hanyang Capital Fortres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3.06
41P 미리보기
조선 전기 한양도성 막새의 변화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와학보 / 7권 / 7호 / 48 ~ 88페이지
    · 저자명 : 이현주

    초록

    이 글은 조선기와의 성립과 전개를 확인하기 위해 조선의 수도 한양도성 출토 막새 중 전기의 막새를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성 출토 막새의 문양은 운봉문, 운룡문, 봉황문, 용문, 범자문, 범자당초문, 가릉빈가문, 화문, 연화당초문이 있으며 모든 문양의 막새 접합에 갈퀴기법을 사용하였다는 제작기법상의 큰 특징을 도출하였다.
    전기 도성 막새의 성립이 고려와 중국 원‧명의 제와체계와 조선의 독자성을 바탕하였다는 점을 확인하고 도성 밖에 위치한 왕실과 관계한 사찰, 왕릉 등의 출토 막새와 비교하여 전기 도성 막새의 사용 배경과 변화양상을 크게 태조~태종, 세종, 세조, 예종~선조 총 4기로 설정하여 검토하였다.
    유교적인 지배질서의 강화와 국가의 문물제도가 정비되는 15세기 전반 세종대에 도성의 제와체계가 성립되었다. 그 제와체계로 제작한 봉황문‧용문 막새는 국가 건축의 상징으로 임진왜란까지 도성 내에서 사용하였다. 특히 범자문과 가릉빈가문 막새는 도성 내 건립된 사찰과 궁궐 내 불교적인 건물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용문‧봉황문 막새와 같이 청기와로도 제작되었음을 확인하고, 범자문 막새를 불교적 공간만을 상징하는 막새가 아닌 국가 건축의 상징 기와로 새롭게 조명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가장 특징적인 청기와의 사용 배경을 조선의 문물제도와 오례의 정비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이러한 조선 전기 도성의 막새의 특징들이 조선기와의 발전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이자 도성을 보존‧복원하는 고증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roof-end ti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mong those excavated from the Hanyang capital fortress, the capital of Joseon, to verif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Joseon tiles. The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the Hanyang capital fortress included cloud-phoenix, cloud-dragon, phoenix, dragon, Sanskrit, Sanskrit plant scroll, Kalaviṅka, flower and lotus flower plant scroll pattern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are characterized primarily by the rake technique which was applied to the bindings of all kinds of tiles with different patterns.
    The formation of the capital fortress roof-end ti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found to be based on the tile system of the Yuan and the Ming dynasty and the originality of Joseon. This study, therefore, examined the background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roof-end tiles in the early capital fortress, by comparing the roof-end tiles with those excavated from temples and royal tombs which were located outside the capital fortress and related with royal families, and dividing the background and the changing aspects into four phases: from King Taejo to King Taejo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reign of King Sejo; from King Yejong to King Seonjo.
    The tile system of the capital fortress was formed in the reign of King Sejong(the early 15th century), when the Confucian ruling order was reinforced and the national civilization system was organized. The phoenix/dragon roof-end tiles manufactured based on the tile system was found to be used as a symbol of the national architecture in the capital fortress until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particular, the Sanskrit pattern and the Kalaviṅka pattern are presumed to be used for temples built in the capital fortress and Buddhist buildings in palaces, and was also manufactured as blue tiles, such as the phoenix/dragon roof-end tiles. Hence, it newly highlighted the roof-end tiles with the Sanskrit pattern not only as those symbolizing the Buddhist space, but also as symbolic ones for the national architecture. In addition, it interpreted the background of blue tiles specific to the Joseon dynasty in terms of the civilization system of Joseon and five rites. Such characteristics of Hanyang capital fortress’ roof-end ti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expected to be used as core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Joseon tiles and documentary evidence for preserving and restoring the Hanyang capital fortr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5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