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재판소에 의한 입법권 통제에 대한 고찰 -헌법재판소 2004헌마554, 2009헌라8 결정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A Review on the Control over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nalysis on the Decisions 2004Hun-Ma554 and 2009Hun-Ra8-)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5.08
25P 미리보기
헌법재판소에 의한 입법권 통제에 대한 고찰 -헌법재판소 2004헌마554, 2009헌라8 결정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가법연구 / 11권 / 2호 / 193 ~ 217페이지
    · 저자명 : 홍석한

    초록

    헌법재판소가 국회와의 관계에서 어느 정도의 통제력을 발휘하도록 할 것인지는 헌법재판제도와 관련된 논쟁에서 오래된 주제이다. 이는 헌법원리인 의회주의의 원리, 권력분립의 원리와 헌법재판제도의 취지인 헌법의 규범력 확보 사이에 적절한 선을 찾아내야 하는 문제로서 그만큼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헌법재판소의 국회 입법에 대한 통제는 크게 입법내용에 대한 통제와 입법과정에 대한 통제로 나누어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전자와 관련된 판례로 신행정수도의건설을위한특별조치법위헌확인 사건을, 후자와 관련된 판례로 미디어 관련 법률들의 국회 강행처리와 관련된 국회의원과 국회의장 간의 권한쟁의 사건을 검토하고 있다. 이 두 사건은 최근까지도 문제되고 있는 정치의 사법화 또는 사법의 정치화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헌법재판소에 의한 입법권 통제와 관련하여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사례이다.
    헌법재판은 헌법규범에 대한 해석을 그 본질로 하는 사법적인 법인식 작용으로서 사법작용의 하나이다. 그러나 동시에 심판의 대상이 다른 사법작용에 비하여 보다 정치적인 성격을가진다는 점에서 ‘정치적 사법작용’이다. 헌법재판소는 최고법규범이면서도 추상성과 개방성을 특징으로 하는 헌법규범을 해석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헌법과 법률을 토대로 국가 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유무와 범위를 결정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정치적 쟁점에 대해서도 대답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헌법재판의 특징은 헌법재판소가 정치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는 의미도 아니지만 동시에 헌법재판소가 정치의 한 가운데 서야한다는 의미도 아니다. 비록 헌법재판소 는 국회의 입법권을 존중해야 하지만 헌법으로부터 부여받은 자신의 권한과 의무를 다함으로써 정치를 통제하는 기능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회에서 압도적 다수에 의해 의결된 법률을 헌법재판소가 관습헌법론을 원용하여 무효화시킨 신행정수도특별법 사건은 헌법재판소가 자신의 권한을 넘어서서 입법권을 침해하였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반면, 국회의원의 심의·표결권을 침해하는 분명한 절차상의 하자를 드러낸 법률안 의결절차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국회의 자율권 등을 이유로 사실상 유효를 선언한 미디어법 사건은 헌법재판소가 헌법의 수호자로서 정치를 통제해야 하는 역할을 소홀히 하였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이러한 측면에서 국회에서 압도적 다수에 의해 의결된 법률을 헌법재판소가 관습헌법론을

    영어초록

    It has been the subject of intense scholarly debate regarding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that to what extent the Constitutional Court exert control over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As this problem is related to the finding of a delicate balance between the parliamentarism and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to realize the principles of a constitution, so it is an extremely hard task.
    The Constitutional Court’s control over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sections. the one is for the contents of the laws, the other is for the legislative procedur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City Case or the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Case”(16-2(B) KCCR 1, 2004Hun-Ma554, 566(consolidated), October 21, 2004) related to the former, and “the Competence Dispute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nd the National Assembly Speaker Case”(21-2(B) KCCR 14, 2009Hun-Ra8 · 9 · 10 (consolidated), October 29, 2009) related to the latter.
    The essence of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is to interpret the Constitution and it is one of the judicial ac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subject of judgment assumes a political nature and it is also political action. In turn,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work out an answer to political issues. However, this nature of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mean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neither should be free from politics nor get into politics.
    Alth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to respect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it should fill the role to control political problems as it is empowered by the Constitution to interpret the Constitution.
    In that respect,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n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City Case that the Special Act that intended to relocate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by constructing a new capital for administrative function is unconstitutional on the grounds that Seoul is the capital is a constitutional custom and is endowed with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written constitution exceeded it’s authority. The decision on the Competence Dispute Case that rejected the claim to seek the declaratory judgment of annulment of the announcement of passage of the Bills in spite of the infringement on the rights to review and vote on the Bills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s also unju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