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고의 트라우마와 그 치유책으로서의 사고조사보고서 : 괌 대한항공추락사고의 경우 (The Trauma of the Accident and the Investigation Report as its Remedy : the Case of Guam Crash of Korean Air 801)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0.06
36P 미리보기
사고의 트라우마와 그 치유책으로서의 사고조사보고서 : 괌 대한항공추락사고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31권 / 5 ~ 40페이지
    · 저자명 : 이영준

    초록

    이 논문은 1997년 8월6일 괌에서 발생한 대한항공 801편의 추락사고에 대해 미국립교통안전국(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이하 NTSB)이 발행한 조사보고서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이 분석은 미학과 예술학이 다루고 있는 지각(perception)의 문제를 예술의 영역을 벗어난 항공사고라는 영역으로 확대하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은 우선 대한항공 801편의 추락사고의 개요에 대해 서술하고, 이어서 사고란 무엇인가, 여러 종류의 사고 중에서 항공사고는 왜 특별히 더 트라우마적인가, 그런 트라우마에 대한 대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논의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그런 표상과 과학기술의 담론들이 어떻게 사고에 대한 우리들의 지각을 형성하고 있으며, 사고로 가득 찬 이 세계에서 어떻게 우리의 존재가 균열을 일으키지 않도록 봉합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보고서에는 사고현장 사진은 이 두 장밖에 없지만 보고서가 가진 함축의미를 유추해내는 데는 충분하다. 그것은 사고의 혼란과 무질서, 트라우마와, 이를 극복하려는 보고서의 질서정연한 도식 사이의 대조이다. 보고서는 잘 정돈된 양식을 가지고 사고현장을 다시 방문하여, 사고를 다시 겪어내고(relive), 트라우마를 극복하려 한다.
    보고서는 필연의 영역에 해로운 우주선(cosmic ray)처럼 침입한 우연의 요소를 분석과 추론에 의거하여 씻어내고 객관성과 필연성의 담론으로 해석하여 우연을 제거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혹은, 우연성의 침입으로 말미암아 엉망이 되어버린 테크놀로지의 영역에 필연성을 되찾아주어 테크놀로지가 지배하는 이 세계의 질서를 회복하려는 노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사고란 시스템과 의미의 질서가 붕괴되는 순간이라고 정의한다. 이때 평소 시스템을 관장하고 다루던 주체도 붕괴된다. 희생자의 죽음에 맞서, 사고조사보고서는 “죽음을 반복함으로써 죽음의 일회성을 극복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사고조사보고서란 극단으로 치달은 혼란과 무질서의 요인들을 다 재구성해서 사고 전의 원형으로 만들려는 노력이다. 그러나 이는 불가능한 프로젝트이다. 이 경우 내러티브의 특징은 근접성(proximity)이다. 즉 사고의 원인에 근접은 하지만 결코 그것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마치 제논의 역설과 같이, 보고서는 자세하고 객관적으로 서술하면 할수록 사고의 순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가까이 가기만 할 뿐이다. 그것은 시뮬레이션과 실제의 차이 같은 것이다. 따라서 보고서와 사고의 순간은 환유적인 관계(metonymy), 즉 인접의 관계이지 은유는 아니다. 환유란 참으로 허무한 것이, 제논의 화살이 결코 목표에 가까이만 갈 뿐 맞출 수 없듯이 서술하려는 대상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고조사보고서에서는 그런 허무함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저자의 회복으로 결실을 맺는다. 앞서 썼듯이 사고는 주체가 사라지는 순간이다. 그 순간이 몇 천분의 1초로 짧다고 해도 주체가 사라지는 것은 대단히 트라우마적인 경험이다. 사고를 하나의 내러티브라고 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그것을 쓴 저자는 없다. 이때 사고조사보고서는 그 사태에 대한 저자(author)로 나서서 내러티브를 재구성하고 사고의 성격과 본질을 규정하며(define), 사고 자체를 재연해낸다(to relive).

    영어초록

    This thesis analyzes the accident report piled by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about the crash of Korean Air 801 at Guam in 1997. This analysis will extend the range of aesthetics and the study of art to that of the perception in technology. At first, this thesis describes the overal aspect of the accident and discusses what an accident is, why aviation accident is more traumatic than other accidents and what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m are. Finally,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our perception of the accident is formulated by the representation and discourses in an accident report. This thesis argues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ccident report is to suture our own being in a world ridden with all kinds of accidents that threat the coherence of our existence.
    This thesis focuses on how the details of representatio such as texts, drawing, diagram and photographs play their roles to cope with the trauma of the accident. Although there are only two photographs of the scene of the accident, they are enough to help us deduce the connotation of the accident report. It is the contrast between the chaos, disorder and trauma of the accident on the one hand and the orderly format of the report. It revisits the scene of the accident with a well organized format and relives it and finally tries to overcome the trauma of the accident.
    An accident report can be seen as an effort to eliminate the dangerous chance element that penetrates into the system like a harmful cosmic ray and fill the void with the discourse of objectivity and neccessity. Or, it can be seen as an effort to recuperate the neccessity in system which has been damaged by the above mentioned penetration of the chance element and restore an order to this world governed by technology.
    An accident is defined as a moment in which the system and the order of meaning collapse. The subject that controls the system collapses along with them. Facing it, the accident report tries to “repeat the death and overcome the happening of the death”. However, this is impossible. The main feature of the narrative of the accident report is ‘proximity’. It reaches close enough to the cause of the accident but can not really touch it. Thus the accident report and the moment of the accident are in a relationship of metonymy.
    As the symbol and its referent have only a contiguous relation to each other in metonymy, the accident tries to cover this gap by reinstate the subject of the accident. The accident report acts as the author of the accident and define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accident. That is how the contemporary humans cope with the alien phenomenon of accid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