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캐릭터 연구를 위한 ‘탈서사 캐릭터’ 개념 제언: 아즈마 히로키와 이토 고의 논의를 중심으로 (Proposing the concept of 'Post-Narrative Character' for character studies: Applying Theory of Hiroki Azuma and Go It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3.08
33P 미리보기
캐릭터 연구를 위한 ‘탈서사 캐릭터’ 개념 제언: 아즈마 히로키와 이토 고의 논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40호 / 327 ~ 359페이지
    · 저자명 : 전혜정

    초록

    캐릭터가 활용되는 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제 캐릭터는 우리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그 결과 캐릭터 산업은 애니메이션 산업의 주변 부문에서 그 자체로 선도적인 산업으로 변모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캐릭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여전히 전통적인 분석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변화하는 캐릭터 분야의 사회적, 산업적 현실과 모순될 뿐만 아니라 한국 캐릭터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학문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본의 저명한 문학평론가이자 학자인 아즈마 히로키와 이토 고의 논의를 살펴본 후, 이를 국내의 캐릭터 산업에 적용하였다. 히로키는 ‘데이터베이스 소비’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도입해 일본 사회 내 캐릭터의 현대적 변화를 분석한다. 그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접어든 일본에서는 특정한 가치와 의미를 전달하는 큰 이야기에 대한 수요가 현저히 감소하는 대신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작은 이야기의 수요가 늘어났으며, 그 결과 캐릭터는 자율성을 획득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히로키의 논의가 국내 캐릭터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오늘날 새롭게 등장한 캐릭터의 특성 및 소비 경향을 설명하기 위해 탈서사 캐릭터라는 개념을 제안한 후, 탈서사 캐릭터에서 나타나는 캐릭터의 특성 및 그것이 국내의 캐릭터 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해 규명한다. 그리고 이토 고의 논의를 참조해 캐릭터 용어 구분의 필요성을 확인한 후, 이를 기반으로 탈서사 캐릭터라는 새로운 캐릭터 개념을 제시한다. 오늘날 서사 캐릭터와 탈서사 캐릭터는 공존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후자의 역할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이모티콘 캐릭터를 기점으로 나타난 탈서사 캐릭터 및 그것이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본 연구는 동시대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캐릭터 산업의 변화를 적절하게 포착하고 이를 의미 있게 논의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Recently, character products have gained significant popularity. The expansion of the customer base, the growing range of character products, and the various ways characters are being used have made them an integral part of our daily lives. As a result, the character industry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transforming from a peripheral sector of the animation industry to a leading industry in its own right.
    However, despite this widespread phenomenon, there appears to be limited discussion about characters in South Korea. To address this academic gap, this thesis adopt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Hiroki Azuma, a renowned literary critic and scholar and Ito Go, a manga critic from Japan. Azuma introduces a novel approach called “database consumption” to analyze the contemporary changes in characters within Japanese society. He argues that as Japan has entered the postmodern era, the demand for overarching narratives that convey specific values and meanings has significantly diminished. Consequently, characters have come to be viewed as commodities themselves, leading to new patterns in their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contrast, the study of characters in South Korea still relies on traditional analytical methods. An examination of domestic character theory reveals that South Korean scholars still prioritize two factors for successful characters: narrative coherence and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s' identities through the narrative. This approach not only contradicts the evolving social and industrial reality of the character field but also obstructs a precise interpretation of South Korean characters.
    This thesi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he emergence of new characters in the South Korean character market and elucidates the shift in the domestic character industry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using Azuma’s theoretical framework. Although both narrative and post-narrative characters continue to coexist, the latter is expected to assume a more prominent role. It is crucial to comprehend and engage in meaningful discussions regarding the ongoing transformation in the character indu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