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국열차>, <기생충>에서 경제적 불평등 트라우마와 헤테로토피아의 변화 양상 (Changed Aspect in Economical Inequality Trauma and Heterotopia in ,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3.11
28P 미리보기
&lt;설국열차&gt;, &lt;기생충&gt;에서 경제적 불평등 트라우마와 헤테로토피아의 변화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6권 / 3호 / 179 ~ 206페이지
    · 저자명 : 장미화

    초록

    봉준호의 영화들은 사회적 계층 갈등을 서사적으로 재현해서 관객들의 관심을 모아왔다. <설국열차>와 <기생충>은 그 대표작들로 신자유주의 시대 후기 자본주의 체제의 문제를 공간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영화에서 자본주의 사회의 빈부 대립과 관계성은 삶의 공간적 차이로 인해서 생겨난다. 여기에서 계층 차이로 야기된 갈등은 폭력적인 사건을 촉발하면서 인물들의 트라우마를 드러낸다. 본 고는 이 두 영화들에서 현대 자본주의 사회 계층 갈등이 야기하고 있는 정신적 트라우마의 재현에 대해서 헤테로토피아로서의 공간이 나타나고 변화해가는 양상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설국열차>에서 빙하기 지구 위를 달리는 열차는 계급 투쟁의 공간으로서 그 안에서 인간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계층성에 따라서 소외당한다. 영화는 그러한 양상을 그리면서 여러 인물들의 트라우마를 폐소적인 공간 내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낸다. 열차의 칸들은 인류의 역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영원성의 헤테로토피아이다. 또한 <기생충>의 경우, 빈부 계층의 갈등은 집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트라우마를 나타낸다. 봉준호는 서울의 부유층이 사는 저택 지하에 있는 보이지 않는 어느 지하 공간으로 현재의 계층적 차이가 심화 되는 한국 사회를 풍자하고 있다. 기택이 몰래 숨어 들어가서 사회적으로 타인들과 아무런 관계도 맺지 않고 은둔하며 운신하고 있는 지하 벙커는 일탈적인 공간이며 변화를 추구하는 공간이다.
    본 고는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를 중심으로 이 두 편의 영화들에서 중심적 공간들이 자본주의 사회의 통제에 대해 저항하는 인간 의식을 반영하는 면을 고찰했다. 푸코는 인류가 어느 시대든지 지배 체제가 가하는 통제에 저항하는 헤테로토피아들을 가지고 있다면서 이 공간이 지닌 대안적 가치에 의미를 부여한 바 있다. 두 영화들에서 계층 갈등의 트라우마를 드러내는 공간들은 봉준호가 상상해낸 헤테로토피아들로서 오늘날의 심화된 계층 차별에 반대하는 공간들이다. 이 공간들은 영화 서사에 힘입어서 작금의 신자유주의 시대가 인간성을 간과함을 반영하고 이에 대한 우리의 반성과 성찰을 촉구하고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사실은 계층 불평등의 트라우마를 재현하는 헤테로토피아들이 변화해가는 양상들이다. 사회적 계층성으로 인해서 일어나는 감시와 통제, 폭력적 사태들은 신자유주의 시대 우리가 지닌 트라우마적 삶을 공간적으로 가시화하고 있으며 열차의 전복은 헤테로토피아가 잠재적 가능성을 향해서 변화하게 됨을 보여준다. 지하 벙커는 기택이 자신을 속박하는 세상과의 단절을 통해 갱생을 도모하는 헤테로토피아이다.

    영어초록

    Bong Joon-ho's films captured the attention of audiences by narratively reproducing the other side of class conflict of today. Here, the conflict caused by class differences triggers a violent incident and reveals the characters' trauma.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these two films reproduce the trauma caused by class conflict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focusing on the changing aspects of space as a heterotopia. In <Snowpiercer>, the space of the train running on the ice age Earth is a space where class struggle occurs, and within it, humans are isolated according to class. By depicting such scenes, the film shows the characters' trauma repeatedly throughout the film's space. In the reproduction of each compartment of the train, we encounter an eternal heterotopia that condenses the history of humanity. In the case of <Parasite>, the trauma of class conflict is depicted centered on the space of house. Bong Joon-ho satirizes the deepening class differences in modern Korean society through the invisible bunker space in the basement of a rich man's house in Seoul. In it, individuals live in seclusion without any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is space appears as a heterotopia in which the characters live.
    This article focuses on Michel Foucault's Heterotopia and examines how the central spaces in these two films reflect human consciousness resisting the control of capitalist society. Foucault gave meaning to the alternative value of this space, saying that humanity has heterotopias that resist the control imposed by the ruling system in any era. The spaces that reveal the trauma of class conflict in the two films are heterotopias imagined by Bong Joon-ho, spaces that oppose today's deepened class discrimination. Thanks to the film's narrative, these spaces reflect that the current neoliberal era overlooks humanity and urge us to reflect on this. What is important here is the changing patterns of heterotopias that reproduce the trauma of class inequality. Surveillance, control, and violent incidents that occur due to social hierarchy spatially visualize the traumatic lives we have in the neoliberal era, and the overturning of the train shows that heterotopia is changing toward potential possibilities. The underground bunker is a heterotopia where Ki-taek seeks rehabilitation by disconnecting from the world that binds hi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