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타지마동강세(哪咤之魔童降世)>의 트랜스아이덴티티적대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 (Trans-identity of - Focusing on the Antagonist Character -)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1.10
18P 미리보기
&lt;나타지마동강세(哪咤之魔童降世)&gt;의 트랜스아이덴티티적대자 캐릭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3권 / 10호 / 723 ~ 740페이지
    · 저자명 : 정원대

    초록

    애니메이션은 일상에서 접하는 고정관념, 관습과 같은 관념을 재정의 하는 스토리텔링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애니메이션에서 재정의가 필요한 관념은 부정적인 형태로 나타나 변화가 필요한 일종의 상징으로 제시된다. 그러한관념은 애니메이션의 스토리텔링적 특성에 따라 적대자 캐릭터를 통해 드러나기도 한다. 적대자 캐릭터는 주인공과정반대의 특성으로 애니메이션에서 재정의 하려는 관념을 드러내고 옹호하는 대상에 해당한다. 애니메이션에서 적대자 캐릭터의 형상은 그 자체로서 재정의가 필요한 관념의 집합체이며 동시에 일상에서 변화가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에서 적대자 캐릭터는 주인공이 인식하는 부정의 대상이지만 동시에 개선되어야 하는 고정관념과 관습의 집합체에 해당한다. 그에 따라 적대자 캐릭터의 변화와 그 양상은 애니메이션에서 재정의가 필요한 고정관념과 관습을 상징하고 구체적인 대상으로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애니메이션에서 적대자캐릭터의 연구는 상징으로서 혹은 존재적 의미에서만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에서 적대자 캐릭터의 형상과 그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 의미 파악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는 인간과 동일시되는 또 다른 ‘나’와 타자의 상징에 해당한다. 특히 적대자캐릭터는 나와 동일시되는 ‘나’를 부정하고 거부한다는 측면에서 현실의 타자와 유사하다. 그에 따라 애니메이션에서 적대자 캐릭터는 일종의 부정적 타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애니메이션 적대자 캐릭터의 형상과 변화 양상은 타자의 정체성에 근거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애니메이션 적대자 캐릭터의 부정적 타자로서 정체성을 고정관념에 물든 인간과 ‘나’의 모습을 재규정하는 또 다른 분신으로서 의미를 파악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 적대자 캐릭터의 부정적 타자로서 정체성과 그 변화에 따라 형성되는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트랜스아이덴티티를 통해 고찰하였다. 분석대상은 <나타지마동강세>의 적대자 캐릭터인 아오빙의 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에서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였다,분석결과 <나타지마동강세>에서 아오빙은 고정관념에 물들어 개선이 필요한 부정적 타자로 나타나 주인공과 동일하게 이상적인 ‘나’로 변화하였다. 아오빙의 정체성과 전환을 통해 볼 때 애니메이션에서 적대자 캐릭터는 부정적타자의 형상을 나타냄과 동시에 주인공의 정체성 전환과 그가 개선하려는 정체성이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이를통해 애니메이션에서 적대자 캐릭터의 형상과 변화는 스토리텔링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nimation is also composed of storytelling that redefines notions such as stereotypes andconventions encountered in daily life. In animation, notions that need redefinition appear innegative form and appear as a kind of symbol that needs change. According to the storytellingcharacteristics of animation, such an idea is also revealed through the antagonist character. Theantagonist character is the opposite of the main character, and it is the object of exposing anddefending the idea to redefine in animation. In animation, the shape of the antagonist characteris itself a collection of ideas that need redefinition, and at the same time suggests that change ispossible in everyday life.
    In animation, the antagonist character is an object of negation perceived by the protagonist,but at the same time corresponds to a collection of stereotypes and customs that must be improved.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change and aspect of the antagonist character symbolizes thestereotypes and customs that need redefinition in animation and is revealed as a concrete object.
    Nevertheless, the study of antagonist characters in the existing animation has been discussedonly as a symbol or existential meaning.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shape of the antagonist character in animation and its changewere considere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understanding the meaning. Inanimation, the character corresponds to the symbol of another ‘I’ and the other identified withhumans. In particular, the antagonist character is similar to the real other in that it denies andrejects the ‘I’ identified with me. Accordingly, the antagonist character in animation can be saidto be a kind of negative batter.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shape and change of the characterof the antagonist of the animation was grasped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other person. As anegative other of the antagonistic character of the animation, the meaning was grasped as anotheralter ego that redefines the image of a human and ‘I’ who are stained with stereotypes of identity.
    The character of the storytelling that is formed according to the identity as a negative other ofthe antagonist character in animation and its change is considered through trans-identity. Thesubject of analysis wa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in animation through theanalysis of Aoving, the antagonist character of <Nezha: Birth of the Demon Chil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Nezha: Birth of the Demon Child>, Aobing appeared as anegative hitter who was stained with stereotypes and needed improvement, and changed into the ideal ‘I’ just like the main character. Looking at Aoving’s identity and transformation, it canbe seen that the antagonist character in the animation shows the shape of a negative other, andat the same time, the identity transformation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identity he is tryingto improve are revealed.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importance of the shape andchange of the antagonist character in animation is highlighted in terms of storytel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