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왕퇴백서(馬王堆帛書) 『주역』을 통한 중국 고대역학(古代易學)의 재조명 (A Study on the Ancient Yixue(易學) through the Silk Manuscripts of Mawangdui Zhouyi)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1.06
28P 미리보기
마왕퇴백서(馬王堆帛書) 『주역』을 통한 중국 고대역학(古代易學)의 재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유교사상문화연구 / 84호 / 45 ~ 72페이지
    · 저자명 : 원용준

    초록

    이 논문은 마왕퇴백서 『주역』을 현행본 『주역』 및 기타 문헌자료들과 비교・고찰하여, 고대 역학의 한 측면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백서 『주역』에는 현행본과 다른 異文들이 많이 있는데, 고대 『주역』 및 역학이론의 면모를 밝히기 위해서는 그 이문에 주목하여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백서 『육십사괘』 고괘(蠱卦)의 상구효와 몽괘(蒙卦)의 괘사, 백서 『역전』, 「이삼자문(二三子問)」편과 「요(要)」편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를 살펴본다.
    백서 『육십사괘』 고괘(蠱卦)의 상구효에는 현행본에는 없는 ‘흉(凶)’이라는 점단이 붙어 있다. 이를 『예기』, 「표기」 등의 자료와 비교, 분석하면 전한초기까지 『주역』 텍스트는 안정되어 있지 않았으며, 유가사상가들이 『주역』을 자신의 경전으로 도입하면서 자신들의 사상에 적합하지 않은 ‘흉(凶)’자를 삭제한 것으로 추정된다.
    백서 『육십사괘』 몽괘(蒙卦) 괘사는 현행본의 ‘불고(不告)’를 모두 ‘불길(不吉)’로 쓰는데, 이렇게 쓰는 쪽이 점서로서의 『주역』의 성격과 더 잘 부합한다. 따라서 고대의 『역』은 ‘불길(不吉)’로 쓰여 있었을 것이다. 백서 『역전』, 「목화」와 『예기』, 「표기」는 몽괘 괘사를 유교적으로 응용하고 있으며, 이 두 문헌을 비교고찰하면 ‘불길(不吉)’에서 ‘불고(不告)’로의 변화가 『주역』의 유교화과정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백서 『역전』, 「이삼자문」에는 『순자』, 「비상(非相)」편과 관련되는 문장이 보인다. 이를 통해 고대 『역』이 유교화되기 시작한 시점이 전국시대 말기의 순자가 활동하던 시대부터임을 알 수 있다. 순자는 『주역』에 큰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주역』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순자의 문인들이 활동하던 시기부터였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백서 『역전』, 「요」편에는 『주역』에 점술적 성격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덕행과 인의의 책이라는 점이 더욱 중요하다는 내용이 있다. 이것은 백서 『역전』의 저자들이 점서와 경전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정합적으로 종합하려는 시도를 하였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seeks to explore an aspect of the ancient Yixue 易學 history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Yixue theories shown in the Silk Manuscripts of Mawangdui Zhouyi with the current version of it and other related texts. There are many variora in the Silk Manuscripts of the Zhouyi 周易, which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reveal the aspects of ancient text Zhouyi and Yixue theories.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se variora shown in the Silk Manuscript of the Zhouyi focusing on Top Nine of Hexagram Gu 蠱, hexagram statement of Meng 蒙 Hexagram, “The Two or Three Disciples Ask (Ersanzi Wen 二三子問)” and “Yao 要” in the Silk Manuscripts of the Yizhuan 易傳.
    Top Nine of Hexagram Gu in the Silk Manuscript Sixty Four Hexagrams contains a letter of “xiong 凶”, as a divinatio decision, which means ominous that is not in the current version. Comparing and analyzing this with texts such including “Biaoji 表記” of the Liji 禮記, it is estimated that the Zhouyi text was not settl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Qin 秦 and Han 漢 dynasties and that Confucian thinkers deleted the letter of “xiong 凶” that was not suitable for their ideas as they introduced the Zhouyi into their Confucian classics.
    In the hexagram statement of Meng Hexagram in the Silk Manuscript Sixty Four Hexagrams, “bugao 不告” in the current version is all written as “buji 不吉”, which is more in line with the character of the Zhouyi as a book of fortune-telling. Thus, the ancient text of Yi would have been written in “buji”. “Muhe 繆和” of the Silk Manuscript Yizhuan and “Biaoji” of the Liji applies the hexagram statement of Meng in a Confucian way and a comparison of these two texts shows that the change from “buji” to “bugao” coincides with the Confucianization process of the Zhouyi.
    In the “The Two or Three Disciples Ask” in the Silk Manuscripts of the Yizhuan, there are sentences related to “Fei xiang 非相” of the Xunzi 荀子. This shows that ancient text Zhouyi began to be Confucianized from the time when Xunzi was active at the end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Since Xunzi was not very interested in the Zhouyi, it is believed that the Zhouyi began to be actively used from the time when Xunzi's pupils.
    Finally, in the “Yao” in the Silk Manuscripts of the Yizhuan, it acknowledges that there is a characteristic as a book of fortune-telling in the Zhouyi, but it mentions that the Zhouyi. is more important as a book of virtue and righteousness. This shows that the authors of the Silk Manuscripts of the Yizhuan attempted to combine the two characteristics of fortune-telling and scrip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교사상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