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족사적 트라우마와 대항서사 - 임영춘 소설을 중심으로 - (People’s Historical Trauma and an Anti-narrative- Centering on Lim Yeong Chun’s Nove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7.08
28P 미리보기
민족사적 트라우마와 대항서사 - 임영춘 소설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연구 / 80호 / 173 ~ 200페이지
    · 저자명 : 장미영

    초록

    기억의 기록은 누군가가 겪은 사건의 경험을 동시대에 살고 있 는 공동체가 함께 나누어 가져야만 한다는 신념하에 이루어지는 당위적 의지의 실천이다. 그것은 당대 사회가 해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미처 손을 쓰지 못하고 있는 현실 문제에 대해 의식을 가진 자가 소리 없이 깊숙하게 개입하는 정치적 행위이기도 하다.
    소설가 임영춘은 『갯들』(1981년)로부터 시작하여 『들판』(1988 년), 『대지의 유언』(1994년)에 이르기까지 개칠에 개칠을 거듭하면서 우리나라의 곡창지대가 일제에 탈취당하고 개펄마저 왜인들의 손에 유린당한 민족의 상흔을 줄기차게 그려냈다. 20권 분량의 대하소설 집필을 꿈꾸었던 작가는 고향인 김제 광활면에서 살았던 유년시절의 기억을 토대로 옛 식민지시대 일제의 동진강 하류 간척사업과 간척지 이민촌을 추적했다.
    작가의 수년에 걸친 자료 수집으로 철저한 고증이 더해지면서 ‘징게맹게 너른들’로 불렸던 김제평야와 만경평야는 우리나라에서 쌀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곡창지대이자 동시에 민족적 고난의 공간 또는 민족사적 트라우마의 공간으로 재탄생되었다. 임영춘이 기록한 만경벌과 동진 농장 일대의 간척지에 서린 한국인 농노들의 원한과 절규는 제국주의적 가치 속에 은폐되어버린 인간의 비참한 삶에 대한 세계사적 증언이기도 하다.
    세월이 흘러 지난 세기, 제국주의 시대를 객관적 안목으로 바라 볼 수 있게 된 지금 우리는 임영춘이 그려낸 바, 일본 제국주의시대의 희생자가 토로하는 고통스런 절규, 당대 우리 민족의 참담한 삶의 현장을 통해 조상에 대한 후손으로서의 역할 내지 국가에 대한 국민으로서의 의무감 등을 깊이 사유할 수 있게 되었다.

    영어초록

    Writing of memory is practicing a justifiable will which somebody’s experience of an incident has to be shared with the whole community at the same period. It is also the political activity deeply intervening the real issue which nobody cannot handle despite of its desperate necessity.
    From Sea side field in 1981 to the wild field in 1988 and land’s will in 1994, A novelist Lim Yeong Chun, by adjusting and adjusting, keeps expressing Korean people’s scar when their fields and the sandbank were taken and infringed by the Japanese empire.
    As the Japanese rule toward the land has been deepening, their desire for food has been extended from simple occupation of land to reclamation work on Mangyeong sea bank. As the value of land was getting over-evaluated, reclamation work became the government project. Hucui is a typical character who voluntarily changed his sense to the sense of mission for the nation based on the value of imperialism. He used to be the colonel of Japanese army and became in charge of reclamation project representing the imperial value. It causes to hide the Japanese ruler’s aggressive attitudes.
    As time flows, now we can see objectively the previous century, the era of imperialism, and also deeply consider the people’s duty for the nation, victims’ painful outcries and weird way of life tho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