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게세르와 말(馬) -<게세르 칸<에 나타난 말 형상을 중심으로- (Geser and Horses focused on the figures of the horse described in the “Geser”)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2.08
26P 미리보기
게세르와 말(馬) -&lt;게세르 칸&lt;에 나타난 말 형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수록지 정보 : 몽골학 / 33호 / 129 ~ 154페이지
    · 저자명 : 장두식

    초록

    This paper aims at contemplating the semantic network of horses in Mongolian nomadic cultur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horses described in Beijing edition Geser. Geser is a heroic narrative story which arose from 10th century Tibet and became spread throughout the East Asia. Depending on the regional variation, the story is interpreted as a myth, or understood as a historically reflected heroic epic or as a pure literary piece. Thus, it is an important source to clarify the East Asian world-view.
    A horse in Mongolian nomadic culture has a meaning of something more than a domestic animal. No nomadic culture can be founded without horses.
    It is because horses make cattle pastures in wide meadow and long-distance plundering wars possible. In Geser, horses are described as transportations both in daily lives and in wars, as spoils of wars, as objects of sacrifice, and as forecasting methods, and such descriptions represent the nomadic culture.
    The configuration of ‘Bilig-ün keger morin’ clearly shows the status of horses in the nomadic culture. Bilig-ün keger morin, that is a sacred horse, is described not as a mere horse but as an assistant and companion of Geser Khan. It can be said that the heroic epic of Geser Khan cannot be formed without Bilig-ün keger morin. It represents the fact that nothing can be done without horses in nomadic cultural region.
    Horses appearing in Geser are described as domestic animals, as helpers, and as beings with divinity. Such configurations of horses show the characters and the status of horses in the nomadic culture. In other words, it confirms that the strongest key-word to understand the nomadic culture is a horse.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contemplating the semantic network of horses in Mongolian nomadic cultur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horses described in Beijing edition Geser. Geser is a heroic narrative story which arose from 10th century Tibet and became spread throughout the East Asia. Depending on the regional variation, the story is interpreted as a myth, or understood as a historically reflected heroic epic or as a pure literary piece. Thus, it is an important source to clarify the East Asian world-view.
    A horse in Mongolian nomadic culture has a meaning of something more than a domestic animal. No nomadic culture can be founded without horses.
    It is because horses make cattle pastures in wide meadow and long-distance plundering wars possible. In Geser, horses are described as transportations both in daily lives and in wars, as spoils of wars, as objects of sacrifice, and as forecasting methods, and such descriptions represent the nomadic culture.
    The configuration of ‘Bilig-ün keger morin’ clearly shows the status of horses in the nomadic culture. Bilig-ün keger morin, that is a sacred horse, is described not as a mere horse but as an assistant and companion of Geser Khan. It can be said that the heroic epic of Geser Khan cannot be formed without Bilig-ün keger morin. It represents the fact that nothing can be done without horses in nomadic cultural region.
    Horses appearing in Geser are described as domestic animals, as helpers, and as beings with divinity. Such configurations of horses show the characters and the status of horses in the nomadic culture. In other words, it confirms that the strongest key-word to understand the nomadic culture is a ho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