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남대총 남분출토 ‘馬朗’명 칠기의 의미 (Meaning of ‘Marang’ Written on Lacquerware Excavated from The South Side of the Hwangnamdaechong Tomb)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8.10
30P 미리보기
황남대총 남분출토 ‘馬朗’명 칠기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문화유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중앙고고연구 / 27호 / 105 ~ 134페이지
    · 저자명 : 정일, 이은석

    초록

    1973~1975년에 발굴한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칠기 중 ‘마랑(馬朗)’명문은 3~4세기대 서진(西晉)시기에 활약한 바둑의 최고수로 기성(棋聖)의 칭호를 얻었던 인물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중국에서도 ‘마랑’이라는 인물에 대해서는 기록만 남아있을 뿐이며, 바둑관련 유물로 실물이 확인된 것은 황남대총 남분 칠기에서 처음이다. 황남대총 남분과 북분 출토 칠기는 모두 중국에서 제작된 것으로 분석된 결과로 볼 때 4~5세기대 상당수가 수입되어 사용되거나, 고분에 매납된 것을 본다면 당시 신라의 국제교역의 수준은 매우 활성화되었음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즉 육상실크로드를 통한 북방 유물과 문화의 유입을 중심으로만 본 관점의 탈피가 필요하다. 당시 백제 중심으로 해상활동이 이루어졌다는 인식에서 확대하여 신라도 역할을 충분히 하였다는 점이 유물에서 증명되고 있다. 해양을 통해 오키나와산 조개 등 많은 유물이 신라·가야로 수입되었고, 각종 유리제품의 유입경로 역시 해로를 통하여 수입될 가능성에 대해 시야를 넓혀야 할 단계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황남대총 남분, 천마총, 금관총 등 5~6세기대 고분에서 출토된 소형의 둥근 자갈은 바둑돌임을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개로왕대 바둑관련 기록보다도 이른 시기에 신라로 바둑이 보급되었음을 유물로 증명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Among the lacquerwares excavated from the south side of the Hwangnamdaechong Tomb in 1973~1975, the name ‘Marang’ on a lacquerware has been identified as a historical person who is well known as a master baduk(go, 碁, 中國:圍棋)-player during the West Qin era, 3rd and 4th centuries. ‘Marang(馬朗)’ had earned the title as a great master of baduk during his life. Currently, the only historical records about him remain in China, and it is the first time that a baduk-related artifact has been identified. Given that all of the lacquerwares excavated from the north and south sides of the Hwangnamdaechong Tomb turned out to have been made in China, this indicates a high level of activity in Silla’s international trade when many of the Chinese lacquerwares were imported and used during the 4th and 5th centuries. Thus, it is necessary to challenge the viewpoint that the Northern relics and culture were imported to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Land Silk Road only. The relics demonstrate that Sill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arine activities in ancient times, which expands the previous perception that marine activities were concentrated in and around Baekje. Many relics, including the shellfish from Okinawa, were imported to Silla and Gaya through the ocean. One must recognize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glass products were also imported through the sea routes.
    Furthermore, the small round pebbles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from the 5th and 6th centuries, such as the Hwangnamdaechong Tomb, the Cheonmachong Tomb, and the Geumgwanchong Tomb, are likely baduk stones. As such, it can be proven that baduk was spread to Silla at an earlier period than the 5th century, before the King Gaero period of Baekje as written in ‘The History of Three Dynas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