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馬王堆 발굴 양생서,『十問』譯註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十問』(Shiwen), manuscript excavated at 馬王堆(Mawangdui))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0.11
57P 미리보기
馬王堆 발굴 양생서,『十問』譯註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33호 / 319 ~ 375페이지
    · 저자명 : 정우진

    초록

    본고는 마왕퇴 발굴문헌인『十問』의 역주본이다. 馬王堆와 張家山의 발굴 양생서가 상호간에 교류가 있었다는 전제하에 양쪽의 서적을 하나의 묶어보면,『十問』은 맥과 관련된 계열의 문헌을 제한 나머지 양생서의 총론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쪽에서 지은『十問』이라는 이름은 이 문헌의 편제를 반영하고 있다. 각 편이 모두 ‘黃帝問~’과 같은 형식의 질문으로 시작되는, 이 문헌은 문답의 형식을 따르는 열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의 정합성은 완전하지 않고, 중복되는 내용도 있다. 편집이전에는 각각 다른 문헌이었을 가능성을 높이는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질문의 형식으로 시작되는 점 등은 편집자에 의해서 구성된 것인데, 중복되는 내용에도 불구하고 굳이 열편으로 맞춘 것에서 수비학적 태도를 읽을 수 있다. 다만, 편의 수 외에 다른 곳에서도 수비학적 특성이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첫 편의 작성자들이 다른 학파의 의견을 종합해서 하나로 묶었을 가능성이 있다. 六臣과 黃帝의 대화체로 구성되어 있는『內經』도 天師로 불리는 기백파의 종합이었다고 하면, 양자 간의 전승가능성을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he translation into Korean and commentary of『十問』(Shiwen) 馬王堆(Mawangdui) caved manuscript. In my opinion,『十問』 is the representative manuscript among Mawangdui caved manuscript about body-cultivation(養形) for its contents containing every kinds of body-cultivation techniques(養形術) that we can find in other Mawangdui manuscripts. As the title『十問』 shows, This manuscript is composed of ten questions and following answers. But the contents are not strictly divided following this formal division.
    The first translation of『十問』 is published in 1975 by 文物. Mawangdui 4, published in Beijing in 1985, provided a photographic reproduction of the manuscripts and a transcription of all texts. Now we have some good translations of『十問』. 馬繼興(Ma Jixing), 周一謀(Zhou yimou) and Donald J Harper‘s works are representative of translations into modern language until now, I think. I translated『十問』 by critically comparing three works mentioned above. But the commentary does not have much connection with three works. I tried to clear the connection of『十問』 with oriental medicine and fix the place of『十問』 in the history of nuturing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