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패션 브랜드의 중국 진출을 위한 중국 신세대 여성 원피스 디자인 분석 - 바링허우와 지우링허우 세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One - Piece Design for Chinese New Generation to Entry Korean Brands into Chinese Market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Post - 80s and the Post - 90s Generations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6.06
16P 미리보기
한국 패션 브랜드의 중국 진출을 위한 중국 신세대 여성 원피스 디자인 분석 - 바링허우와 지우링허우 세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2권 / 2호 / 415 ~ 430페이지
    · 저자명 : 이단, 이인성

    초록

    본 연구는 중국 소비시장의 주력군으로 부상하는신세대 여성 ‘바링허우(八零后)’와 ‘지우링허우(九零 后)’의 특징과 라이프스타일을 토대로 이들이 선호하는 한국 패션 브랜드의 원피스 디자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 패션브랜드의 중국 내수시장의 성공적 진입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연구는 2015 년 12원 30일부터 2016년 1월 30일까지 1개월 동안중국 바링허우와 지우링허우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한국 패션 브랜드 8개를 선정하여 브랜드의 홈페이지와 Tmall(天 猫)에서 검색되는 2014 S/S 시즌과 2015 S/S 시즌의원피스 사진을 중심으로 디자인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패션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수집된 이미지를 원피스의 종류, 컬러, 재질, 패턴, 장식적 디테일, 구조적 디테일, 트리밍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바링허우 여성들이 선호하는 한국 패션 브랜드의 원피스와 지우링허우 여성들이 선호하는한국 패션 브랜드의 원피스는 공통적으로 시프트, 피트 앤 플레어 종류가 많이 나타났고, 라운드 네크라인과 피터 팬 칼라, 셋인 슬리브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바링허우 여성들이 선호하는 한국 패션 브랜드의원피스는 지우링허우 여성들이 선호하는 한국 패션브랜드의 원피스보다 프린세스 원피스가 많이 나타났고 소프트한 재질에 꽃 패턴으로 MIX된 컬러와 Vp, P와 같은 저채도의 R계열 컬러가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피터 팬, 버뮤다와 같은 플랫 칼라에 스캘럽, 레이스, 비드, 자수 등 섬세한 디테일과 트리밍이 들어간 고급스럽고 화려하면서 여성스러운 원피스가 많이나타났다. 이는 바링허우가 대부분 사회에 진출하였고독립적인 구매력이 있어 트렌드와 품질을 중시하고결혼, 출산을 거쳤기에 로맨틱하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반면, 지우링허우 여성들이 선호하는 한국 패션 브랜드의 원피스는 바링허우 여성들이 선호하는 한국패션 브랜드의 원피스보다 블루종 원피스가 많이 나타났고 하드한 재질에 체크와 스트라이프 패턴이MIX된 컬러와 PB계열이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피터팬 칼라와 캐주얼한 셔츠, 폴로 칼라에 플리츠, 바인딩, 벨트, 단추, 리본 등 디테일과 트리밍이 들어간 캐주얼하면서 러블리한 원피스가 많이 나타났다. 이는지우링허우가 경제적으로 독립되지 못해 대부분 학생이고 부모를 의존하기 때문에 브랜드와 품질보다는트렌드를 추구하고 학교를 다니기 때문에 캐주얼하고러블리한 이미지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women of the new generation, ‘the post-80s’ and ‘the post-90s’, which are considered as the emerging consuming powers. The focus will be on conducting a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two different generation consumers and also find out their different preferences in Korean fashion brands’ one-piece design. Thereafter, the ultimate goal is to suggest how Korean fashion brands can lead success in China based on deep understanding of the main consuming power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The empirical research surveyed for the post-80s and the post-90s women was conducted from December 30th 2015 to January 30th 2016, and we finalized Top 8 Korean fashion brands. For a one-piece design analysis of those selected brands, the study observed each brand’s website and photos of 2014 S/S and 2015 S/S that were searched through Tmall. At last, 10 experts in fashion industry went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here they analyzed color, texture, pattern, detail, structure, and trimming of different one-pie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post-80s women and the post-90s women both preferred shift, fit and flare kind of one-piece when it comes to shopping Korean brands. Round neck line, Peter Pan collar, set in sleeve came next as their favorite designs. The post-80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princess type one-piece.
    They also chose soft textured one-piece with flower patterns and colors of low chroma such as Vp, P. In addition, luxurious and feminine one-piece that has details such as Peter Pan collar, embroideries, laces, and beads were popular among them. Thi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fact that such consumer group is mostly composed of women who have relatively strong consuming power and high fashion sense. What’s more, they are the women who prefer feminine and romantic image as they have went through marriage and birth.
    Meanwhile, the post-90s women choses blouson one-piece and also hard textured one-piece with check pattern or stripes, mostly in PB colors. Moreover, they preferred to purchase one-piece with Polo collar, binding, belt, button, ribbon and other details that make the outfit look cute and casual. This is because this consumer group is mostly students who still rely on their parents when it comes to shopping. Rather than catching up to the latest trend and prioritizing brand value, they are interested in looking like a stud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