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회생 노력과 그 불교사적 의의 : 선교양종 복립을 중심으로 (The Efforts of Queen Munjeong (文定王后) to Revive Buddhism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 Centered on the Restoring the Seongyoyangjo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9.12
31P 미리보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회생 노력과 그 불교사적 의의 : 선교양종 복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11권 / 2호 / 152 ~ 182페이지
    · 저자명 : 김상영

    초록

    2000년대 이후에 들어서면서부터 우리 학계의 조선시대 불교사 관련 연구는 양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다. 최근의 연구는 역사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주도해 나가고 있는데, 이들 연구에 힘입어 이제 조선시대 불교는 이전과 전혀 다른 차원에서 이해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조선 명종대 문정왕후의 불교 회생 노력과 그것이 지니는 불교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논문의 앞부분에서는 중종-명종 시기 불교와 관련한 최근의 새로운 견해들을 소개하고, 아울러 이들 연구에 나타나는 몇 가지 의문점들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중종대 불교를 ‘극렬한 탄압기’로 인식하지 말아야 한다는 최근의 주장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나름대로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1550년(명종 5) 문정왕후가 주도적으로 결행한 ‘선교양종(禪敎兩宗) 복립(復立)’의 과정과 그것이 지니고 있는 불교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문정왕후는 불교 회생을 위한 의도적 절차와 시행계획을 미리 구상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을 책임지고 이끌어나갈 수 있는 대표 승려도 물색하였다. 허응 보우(虛應普雨)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탁된 당대의 고승이었다.
    문정왕후와 보우에 의해 추진된 명종대 불교회생 노력은 이를 지원하는 정치집단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최근 연구자들은 이들 세력을 ‘훈척세력’으로 단정하고 있지만, 과연 명종대 훈척세력으로 지칭되는 정치집단이 불교정책에 대해서도 동일한 의지를 지니고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명종대 선교양종 복립은 불교, 또는 승단이 존립하기 위한 최소한의 근거를 회복하는 일이었다. 비록 일시적이었지만 이 시기에 진행된 선교양종의 복립과 도첩제, 승과고시의 복구 등으로 인해 불교계는 가까스로 ‘회생’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회생은 17세기 이후 전개된 불교계 변화와 상당 부분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entering the 2000s, our academia’s research on the Buddhist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continued to develop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Recent research is leading the field of history actively, and with the influence of such research it can be evaluated that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has reached the level, understood on an entirely different dimension than before.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to examine the efforts of Queen Munjeong of Joseon Myeongjong period to revive Buddhism as well as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irst section of the paper introduces the newly held views regarding Buddhism during the rule from Jungjong to Myeongjong and attempts to examine a few questions that appear in these studies. Particularly, I tried to suggest my personal opinions on the recent argument that Buddhism during Jungjong period should not be perceived as a “period of extreme oppression”.
    The following section examines the process of “the restoration (復立) of the Seongyoyangjong (禪敎兩宗)” that was led by Queen Munjeong in the year of 1550 (the 5th year of Myeongjong's reign) as well as its significance on the Buddhist history. It is highly likely that Queen Munjeong had been planning the deliberate procedures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the resuscitation of Buddhism in advance. Moreover, she also searched a representative monk who was able to lead the series of such measures. Heoeung-Bou (虛應普雨) was the contemporary high priest, who was appointed during such process.
    The efforts to revive the Myeongjong period Buddhism, promoted by Queen Munjeong and Bou,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political group that supported such efforts. Recent researchers refer to such forces as “Huncheog forces”, yet it is equivocal whether the political group, termed as “Huncheog forces” during the of Myeongjong period, had possessed the same willingness for the Buddhist policy.
    The restoration of the Seongyoyangjong of the Myeongjong period was the task to revive the minimum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m or the monastic group. Despite being temporary, the Buddhist community barely provided the opportunity of “revival” by the restoration of Seongyoyangjong, Docheobje, restoration of monastery examination proceeded during this period. Also,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revival during this period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Buddhism that occurred since the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