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즈비그뉴 립친스키 <탱고>(1980)의 시간성 연구 (Temporal analysis of Zbigniew Rybczyński's (1980))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9.03
32P 미리보기
즈비그뉴 립친스키 &lt;탱고&gt;(1980)의 시간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54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이지현

    초록

    폴란드의 애니메이션 제작자 즈비그뉴 립친스키는 1980년 선형적 서사가 없으며, 반복적 움직임을 활용한 실험 애니메이션 <탱고>를 제작한다. 본 연구는 고정된 장소를 배경으로 하고, 동일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단편영화 <탱고>의 캐릭터 분석을 통해, 작품의 공간 구성(composition)이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생성되었는지를 해부하려 한다. 그리하여 기존 연구의 알레고리적 주제 해석이 구조의 측면에서 ‘시간성’에 대한 해석과 맞닿아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타임-베이스드 미디어(time-based media)의 시간 모델 중 <탱고>의 방식은 ‘체험의 영화(cinéma du vécu)’에 매우 근접한 예시라 할 수 있다. 관람객이 작품을 감상 중 지속 시간(duration)의 사용을 통해 상영이 완성되는 구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탱고> 속의 전체 26인 캐릭터들은 각기 다른 자신만의 시간대를 이용해 겹쳐지는 동일한 영역에서 자신의 최대한 자율적 행위를 취한다. 본 연구는 영화 속 인물들의 행위에 대한 엔트로피가 가장 높아지는 순간에 발생하는 평형의 질서(order) 개념에 집중하여,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이러니의 관념이 들뢰즈의 ‘크리스탈 이미지’ 이론과 무척 겹친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리하여 애니메이션 <탱고>가 현대영화의 시간-이미지 이론에 중요한 표본이 될 수 있다고 소개한다.
    프리-디지털(pre-digital) 애니메이션으로서 <탱고>가 지닌 장점은 이후 립친스키의 HD 작업에서도 연속적으로 발견된다. 만일 <탱고>가 보이지 않는 몽타주를 시행하는 영화라고 상정하고, 이러한 콜라주의 행위 주체를 ‘관객’이라 결론 내린다면, 이 작품이 주는 ‘관객 위치’에 대한 해석을 통해 우리는 영화가 목표로 한 진정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소위 말하는 ‘디지털 공간 관념’ 생성에 부합하는 이미지 모델이 이 작품을 통해 관찰된다. 본 연구는 이렇듯 ‘반복’을 통해 ‘리듬’을 생성하는 ‘체험하는 현대영화’의 대표격으로 립친스키의 <탱고>를 소개한다.

    영어초록

    Zbigniew Rybczyński's experimental animated film <Tango>(1980) has no linear narrative, and is based on repetition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s of <Tango> which repeatedly execute the same action in the background of a fixed place, and is to understand how the composition of this work was produced with certain intentions.
    Among the time-based media models, the way of <Tango> is an example close to ‘Cinéma du vécu’. Because the entire composition of this work is completed through the use of the viewer's duration. A total of 26 characters appear autonomously as much as possible using their own time zone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order’ that occurs when the entropy of activity is highest. Interestingly, this ironic idea is very similar to Deleuze's crystal image theory. This study introduces <Tango> as an important sample of the contemporary film theory.
    The advantage of <Tango> as a pre-digital animation film is subsequently found in Rybczynski's HD work. If <Tango> is a film that implements an invisible montage, the 'subject' of collage act becomes 'audience'. Through this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s position,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true intention of the film. We want to prove that an image model corresponding to the creation of 'digital space idea' is observed through this animation. It analyzes Rybczynski's short film as a representative of 'experiencing contemporary film (cinéma du vécu)' which generates 'rhythm' through 'repet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