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은(林隱) 정복심(程復心)의 『사서장도은괄총요(四書章圖檃栝總要)』에 대한 도상학적(圖像學的) 접근 (An Iconographic Approach of Si-shu zhang-tu yin-kuo cong-yaoof Cheng Fu-xi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2.02
38P 미리보기
임은(林隱) 정복심(程復心)의 『사서장도은괄총요(四書章圖檃栝總要)』에 대한 도상학적(圖像學的)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민학회
    · 수록지 정보 : 연민학지 / 37권 / 225 ~ 262페이지
    · 저자명 : 김지훈, 최재목

    초록

    『사서장도』는 원대 유학자 정복심이 지은 책으로, 성리학을 토대로 유교경전을 그림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성리학에서 중요한 그림들이 내용에서 등장하며, 독자로 하여금 사서의 이해를 그 쪽으로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사서장도은괄총요』의 내용을 살펴보면, 상권에서는 성리학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며, 이것은 성리학의 관점에서 사서를 해석하려는 밑작업으로 보인다. 사서의 내용은 중권에서야 본격적으로 나타난다. 정복심은 여기서도 성리학의 관점에서 『논어』ㆍ『맹자』ㆍ『대학』ㆍ『중용』에 나오는 주요 내용들을 그림을 통해 해석하고 있다. 하권에서는 유교 경전에 나오는 문물, 제도에 대한 그림이 나오는데, 이로 인해 경전의 내용에 대해 좀 더 명확한 이해를 할 수 있다.
    『사서장도은괄총요』에 나오는 그림은 동아시아의 성리학에 영향을 미쳤다. 『사서장도은괄총요』와 퇴계의 「심통성정도」는 내용이 일치하는 부분도 있고, 그 내용이 크게 유사하다. 그리고 남명의 『학기유편』에 나오는 그림은 기본 구도가 거의 일치하며 완전히 일치하는 것도 있다. 『사서장도』는 중국, 조선뿐만 아니라 일본에도 전파되었는데, 『사서장도』의 판본은 일본의 성리학자 하야시 라잔이 있었던 쇼헤이자카 학문소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이 『사서장도』는 중국ㆍ한국ㆍ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전역에 전파되었고, 영향을 끼쳤다. 특히 조선 유학에 있어 『사서장도』는 도상학적으로 의미가 적지 않아 보인다.

    영어초록

    Si-shu zhang-tu(四書章圖) is the work of Confucian scholar Cheng Fu-xin of the Yuan Dynasty, and it is a pictorial explanation of the Confucian scriptures based on Neo-Confucianism. Therefore, important pictures in Neo-Confucianism appear in the content. This book leads the reader to understand Si-shu(四書)'s Neo- Confucianism.
    Looking at the contents of Si-shu zhang-tu yin-kuo cong-yao(四書章圖檃栝總要), the main content of the first volume is in Neo-Confucianism, which seems to be the basic work to interpret Si-shu from the point of view of Neo-Confucianism. The contents of Si-shu(四書) appear in earnest in the second volume. Cheng Fu-xin is also interpreting the main contents of Si-shu from the point of view of Neo- Confucianism through pictures. In the third volume, there is a picture of the culture and system found in the Confucian scriptures. This will give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the scriptures.
    The paintings in Si-shu zhang-tu yin-kuo cong-yao influenced Neo-Confucianism in East Asia. The contents of Si-shu zhang-tu yin-kuo cong-yao and Toegye's Simtongsungjungdo(心統性情圖) are similar in some parts, and the contents are very similar. And the picture in Hak-gyi Yu-pyun(學記類編) of Nammyung has almost the same basic composition, and there are some that match completely. Si-shu zhang-tu spread not only to China and Korea, but also to Japan. The version of Si-shu zhang-tu is related to the Shoheizaka Academy, where the Japanese Neo-Confucian scholar Hayashi Razan was. As such, Si-shu zhang-tu spread throughout East Asia such as China, Korea, and Japan, and had an influence. In particular, in Joseon Neo-Confucianism, Si-shu zhang-tu seem to have a lot of iconographic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민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