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義寂의 『大乘義林章』 散逸本 復元 (A Recovery of Daeseung-uirimjang of Uijeok ofthe Silla Kindom)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08.11
57P 미리보기
新羅 義寂의 『大乘義林章』 散逸本 復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2호 / 145 ~ 201페이지
    · 저자명 : 이만

    초록

    신라시대의 7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義寂은 『三國遺事』의 「義湘傳敎」條에 보면 義湘(625~702)의 여러 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알려지고 있다. 의적에게는 신라의 후대에 활동했던 ‘文昌侯’로 추봉되던 崔致遠(857~ ?)이 지은 傳記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拙論, 「新羅 義寂의 一乘思想과 修行論」( 『佛敎學報』 제41집, 2004) 參照]. 왜냐하면 최치원은 『鳳巖寺碑文』, 『崇福寺碑文』, 『法藏和尙傳』등을 지었을 뿐만이 아니라 哀莊王 때(800~809)에 해인사를 창건한 順應과 利貞 두 스님 등에 관한 전기도 짓고, 일연 스님이 ‘本傳’이라고 불렀던 『浮石尊者傳』등도 있었기 때문이다.
    의적의 학풍은 均如(923~973)가 그의 『圓通鈔』에서 의적의 학문적인 경향을, “法相宗에서 왔다”고 하여 화엄종에 귀하한 것으로 보았지만, 일본의 最澄(767~822)이 지은 『守護國界章』에서는 의적을 ‘法相宗의 沙門’이라고 하거나 安然(?~884)의 『敎時諍論』에서도 玄奘의 門人으로 소개하고 있는 것 등으로 보아 의적은 법상종에 소속되었던 인물인 것 같다.
    이러한 의적에게는 『大般若經綱要』 등 25여 종류에 달하는 저서들이 있었는데, 이 중에서 『大乘義林章』은 12卷 혹은 12卷章으로 불렀던 것으로서, 窺基의 이 방면의 저서인 『大乘法苑義林章』(7권)을 ‘略章’이라 하고, 의적의 이것을 ‘廣章’이라 命名했다는 것으로 보아서, 이들은 서로 같은 학술적인 목적을 가지고 저술되었던 것을 알 수 있겠다. 더구나 의적의 것이 규기의 章疏를 補正, 改正, 破斥, 論難, 彈劾 등을 했다는 것으로 보아, 현재 규기의 『大乘法苑義林章』이 전해지고 있는 실정에서 일실된 의적의 것을 일부나마 복원한다면 이들 간의 사상적인 공통성 내지는 상이성 등을 알아보는 데 있어서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되어서 시도된 논문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Samguk Yusa, Uijeok working mainly in the second half of 7 B.C. of the Silla period was known for one of the several disciples of Uisang. It is speculated that Choi Chiwon, who led an active life at later ages of Silla period, wrote a biography of Uijeok. Because he was not only done many types of monumental inscriptions but also wrote biographies of monks who founded and established the temple, Haeinsa in the year of the King Aejang, especially including the biography of a saint of Boosuk which the monk Illyeon called ‘the original biography’. Gyunyeo assumed in his work that Uijeok’s academic preference was inclined more toward the sect of Huayan(華嚴宗) changed from the sect of the phenomenal appearances of dharmas(法相宗). However, Choi Jing in Japan regarded Uijeok as the monk of the sect of the phenomenal appearances of dharmas. Anyeon also introduced Uijeok as followers of Xuanzang sānzàng(玄奘 三藏) in his book. As a result, Uijeok was believed to be one of the disciples of the sect of the phenomenal appearances of dharmas.
    More than 25 kinds of writing regarding Uijeok were made and ‘Daeseung-uirimjang’ was called either 12chapter or 12volume-chapter and Gyugi’s writings of ‘Daeseungbeobwonuirimjang’(7chapter) was called ‘a miniature chapter(略章)’ and that of Uijeok was called ‘a huge chapter(廣章)’ so that those writings were thought to make with scientific purpose. And, as the writing of Uijeok was to make revision, correction and preach of the Gyugi’s writing, so that recovery of a part of lost Uijeok’s writings at introduction of Gyugi’s writings of ‘Daeseung-beobwon-uirimjang’ could examine thought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that 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