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릉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에서 에디공분산으로 관측한 하부 군락의 증발산 (Understory Evapotranspiration Measured by Eddy-Covariance in Gwangneung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09.12
14P 미리보기
광릉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에서 에디공분산으로 관측한 하부 군락의 증발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11권 / 4호 / 233 ~ 246페이지
    · 저자명 : 강민석, 권효정, 임종환, 김준

    초록

    증발산(ET)을 증발(E)과 증산(T)으로 배분하는 것은
    물 순환과 에너지, 물 및 탄소 순환의 연결고리를 이
    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산림 군락의 총 증발산은
    상부 및 하부 군락의 증산과 토양 및 차단 강수로부
    터의 증발로 구성된다. 이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정량
    화하기 위해, 에디 공분산 방법을 사용하여 2008년 6
    월 1일부터 2009년 5월 31일까지 광릉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마루에서의 증발산을 관측하였다. 스펙트
    럼 분석에 따르면, 초음파 풍향 풍속계와 수증기 농도
    측정기 사이의 거리에 의한 증발산 과소 평가는 군락
    하부에서 연간 증발산량의 약 10%정도였다. 하부군락
    의 연간 증발산은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에서 각각
    59mm와 43mm로, 총 증발산량의 16%와 7%를 차지
    하였다. 전반적으로 식생면적지수가 최대인 여름 기간
    을 제외하고는 하부군락의 증발산은 총 증발산에서 무
    시할 수 없는 부분을 차지하였다. 두 산림지역의 비결
    합 모수(Ω)는 약 0.15이었으며, 이는 하부군락의 증발
    산이 주로 포차나 토양 수분에 의해서 조절됨을 보
    여준다. 두 산림의 하부 군락의 증발산의 차이는 군락
    하부의 환경 조건의 차이에 기인하며, 특히 습도와 토
    양 수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였다. 광릉 하부 군락
    의 증발산 기여도가 작지 않다는 사실은 이러한 산림
    의 물질과 에너지 플럭스를 해석하고 모델링하기 위해
    서는 이원 또는 다층 모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partitioning of evapotranspiration (ET) into evaporation (E) and transpiration (T) is critical in
    understanding the water cycle and the couplings between the cycles of energy, water, and carbon. In
    forests, the total ET measured above the canopy consists of T from both overstory and understory
    vegetation, and E from soil and the intercepted precipitation. To quantify their relative contributions,
    we have measured ET from the floors of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in Gwangneung using eddy
    covariance technique from 1 June 2008 to 31 May 2009. Due to smaller eddies that contribute to
    turbulent transfer near the ground, we performed a spectrum analysis and found that the errors
    associated with sensor separation were <10%. The annual sum of the understory ET was 59 mm
    (16% of total ET) in the deciduous forest and 43 mm (~7%) in the coniferous forest. Overall, the
    understory ET was not negligible except during the summer season when the plant area index was
    near its maximum. In both forest canopies, the decoupling factor (Ω) was about ~0.15, indicating that
    the understory ET was controlled mainly by vapor pressure deficit and soil moisture content. The
    differences in the understory ET between the two forest canopies were due t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in the canopies, particularly the contrasting air humidity and soil water content. The
    non-negligible understory ET in the Gwangneung forests suggests that the dual source or multi-level
    models are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and modeling of surface exchange of mass and energy in
    these fore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농림기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