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서원의 복설과 제반 비용 -안동 臨湖書堂을 중심으로- (The Reinstatement of Seowon and Related Expens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ing on Imho Seodang (臨湖書堂) in Ando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3.08
32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서원의 복설과 제반 비용 -안동 臨湖書堂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84호 / 129 ~ 160페이지
    · 저자명 : 채광수

    초록

    대원군 서원 훼철령 이후 서원이 지닌 역사적 의미는 일단락되었다는 것이통설이다. 따라서 한말-일제강점기 서원은 객관적인 탐구와 연구대상에서 배제되었고, 근대이래 생성된 자료에 대한 관심도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서원은 대원군 하야 직후부터 곧바로 신・복설되기 시작해 오늘날에 이르러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수의 서원이 복설되었다면, 그것은 어떤 방식으로 추진되었을까? 이 물음에 답할 수 있는 조건의 서원이 있다. 바로 안동의 金涌을 모신 임호서원이다. 이 서원에는 일제강점기 복설 전후에 생성한 고문서들이 잘 보존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먼저 이건일기를 토대로 임호서원이 복설되는 과정을 재구성하였고, 다음은 현전하는 고문서를 분석해 제반비용과 기능을 조명하였다.
    1920년경 김용의 후손들은 臨川書堂 경내에 임호서원을 복설하기로 결의한다. 복설이 결정된 주된 요인은 기존에 서원이 보유한 경제력이 발판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철폐된 서원 재산은 屬公, 향교 이속, 운영 문중의 자발적처분 등으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임호서원은 훼철 이후에도 여전히 書院田을보유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일부 잡음도 뒤따랐지만 운천계 ⇨ 凡 의성김문 ⇨ 호론계까지 공감대를 형성하는 절차를 거치면서 훼철 55년 만인 1922 년 서당으로 복설되는 성과를 거둔다.
    서원 이건사업은 막대한 인적・물적 비용이 소요되는 役事이다. 관의 인적・ 물적 지원을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처지에서 재원 확보는 후손들과 여러 문중에 부조가 전부였다. 다행히 임천서원은 후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 덕에책정액보다 765냥이 더 모금되어 총 19,765냥을 수합하였다. 이건 사업에 지출된 구체적인 비용은 공사비로 총 13,105냥 9전 5푼을 비롯해 인건비, 식료품비, 식비 등이 지출이 되었다.
    이렇게 복설된 임호서당은 사당이 없어 제향은 설행하지 못했던 것 같고, 주로 모임의 장소로 기능했다. 매년 정례 모임을 비롯하여 문중 혹은 향중의중요한 사안이 있을 때마다 자리를 가졌다. 회합에는 내앞의 문중 구성원들뿐아니라 먼 곳에 거주하는 유림들도 동석했다.
    이 시기에 왜 서원을 복설하려고 했을까? 가장 큰 이유는 20세기 초에도여전히 서원을 필요로 했던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라 하겠다. 즉 전통시대 향촌에서 실력 행사의 매개가 되었던 서원이라는 문중 기반 상실에서 오는 위기감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a common belief that the historical meaning of Seowon ended after Daewongun’s decree of demolishing Seowon. Therefore, Seowon in late Joseon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not subject to objective exploration or research, and interest in data generated after modern times was rather low. However, Seowon began to be built or rebuilt immediately after Daewongun’s resignation, and it is still being actively done today.
    If a number of Seowon were reinstalled, how was it done then? There are the conditions of Seowon that can answer this question. It is Imho Seowon in Andong which enshrines Kim Yong (金涌). It is because ancient documents generated before and after the reinstatement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re well preserved in this Seowon. First, based on the notes of rebuilding (Igeon Ilgi), the process of reinstalling Imho Seowon was reconstructed, and next, existing ancient documents were analyzed to shed light on all related costs and functions.
    Around 1920, Kim Yong’s descendants decided to reinstall Imho Seowon inside the precincts of Imcheon Seodang (臨川書堂). The main factor in the decision of its reinstallment was the economic power previously held by that Seowon. Normally, the properties of abolished Seowon were treated by Sokgong (屬公), Hyanggyo Isok, or the voluntary disposition of the operating clan. Imho Seowon, however, still held Seowon Jeon (書院田) even after the demolition. In the process, some noise was there, too, but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 consensus among Uncheon-gye ⇨ Beom (凡) Uiseong Kim’s family ⇨ Horon-gye, it was rebuilt as Seodang in 1922 after 55 years from its demolition.
    The project to rebuild Seowon is a construction work that requires enormous human and material costs. In the situation where they could not expect enough human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only wa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was the aid from descendants and other families. Fortunately, thanks to the great interest and cooperation of descendants, Imcheon Seowon collected a total of 19,765 Nyang that was 765 Nyang more than the estimated amount. The specific expenses spent on the project of rebuilding include not only a total of 13,105 Nyang 9 Jeon 5 Pun for construction but labor costs, food costs, and eating expenses, too.
    Imho Seodang rebuilt in this way seems to have been unable to perform ancestral rites because there was no shrine, and it mainly functioned as a place for meeting. E very year, they held a regular meeting and also gathered whenever there was a crucial issue of the family or village. In the meeting, not only the members of the family but Yurim living distantly, too, attended.
    Why did they intend to reinstate Seowon then? The biggest reason is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early 20th century in which they still needed Seowon. In other words, the sense of crisis coming from the loss of a family’s foundation, Seowon, which was the medium for exercising power in the traditional village played a major r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