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주림(火珠林)』 육친법(六親法)의 정립과정 (『Hwajurim(火珠林)』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Law of Yuk­Chin(六親))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8.06
30P 미리보기
화주림(火珠林)』 육친법(六親法)의 정립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93호 / 309 ~ 338페이지
    · 저자명 : 박경석, 최정준

    초록

    『화주림』육친법 정립과정과 역학적 의미를 상수역학에 속하는 육효괘의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큰 틀에서 두 가지 관점에서 요약해볼 수 있다. 하나는 오행생극론과 관련하여 주체와 기준의 변화다. 먼저 『경씨역전(京氏易傳)』에서 모든 효를 계효(繫爻)·제효(制爻)·의효(義爻)·보효(寶爻)·전효(專爻)라는 5가지 부류로 본 것은 『회남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오행생극의 주체와 기준이 변화하였다. 『회남자』에서는 간지를 기반으로 한 오행생극관계로 택일의 관점에서 정의하였다. 『경씨역전』에서의 중요한 변화는 괘효를 기반으로 한 오행생극관계를 구상해 육효의 관점에서 5가지로 개념화하였다는 점이다. 오행생극의 주체는 괘효이며 주인격인 중심기준은 괘[팔순괘]가 되었으니, 기존의 『주역』의 서괘(序卦)질서를 해체해 새로운 팔순괘로 세워 오행생극의 중심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화주림』에 와서 오행생극의 중심기준인 괘[팔순괘]를 ‘나’라고 인식하고 ‘아(我)’라고 표현하면서 개인으로서의 보편의식이 드러난다. ‘아’를 육친 정의의 중심기준에 두면서 분명한 개인의식을 드러냈는데 육효점의 대중화와 보편화를 의미한다.
    둘은 육친의 개념과 구성요소의 명칭변화다. 『경씨역전』의 원문에서는 천지〔부모〕·복덕·동기·재〔보패(寶貝)·귀(鬼)라는 명칭으로 불렀다. 육적의 주석에서부터 부모·형제·자손·재(財)·(관)귀[(官)鬼]란 명칭으로 변화하였고,『화주림』에서 달라진 점은 5가지 생극관계를 육친이라고 명시하여 총괄했으며, ‘재(財)’에 ‘처(妻)’가 결합해서 ‘처재’라고 불린 것이다. 『화주림』에서는 비친족관계 요소인 재에 친족관계개념인 처를 결합하여 ‘처재’라고 불렀다. 이후 육친은 다양한 사물에 대한 분류와 포괄을 가능케 하는 범주로 자리잡아갔다.

    영어초록

    We examine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Law of Yuk­Chin(六親) and its meaning in 『Hwajurim(火珠林)』 based on the Yuk­Hyo(六爻). It can be summarized from two perspectives in the big frame.
    First, it is 'the change of the subject and the standard' in relation to the Saeng-Gyeuk(生克) of O-Haeng(五行). Second, it is ‘the change of the concept and name of the component.’ Yuk­Chin(六親) was first seen in Noja(老子). In the original text of Kyung­Ssi-Yeok-Jeon(京氏易傳) Parents(父母), Good luck and Virtue(福德), Dong-Gi(同氣), Property(財), Gui(鬼) were used. And it changed to Parents(父母), brother(兄弟), Offspring(子孫), Property(財), Goan-Gui(官鬼) in the explanatory notes of the Yuk-Jeok(陸績) The difference in Hwajurim(火珠林) is that the Saeng-Gyeuk(生克) of O-Haeng(五行) relationship is defined as Yuk­Chin(六親) and Property(財) and Wife(妻) were combined together and became Chejae(妻財). Yuk­Chin(六親) has become a category that allows classification and inclusion of various o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