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의림(鄭義林)과 외필논쟁(猥筆論爭) (Jeong Euirim(鄭義林) and the Eopil-debate(猥筆論爭))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4.02
32P 미리보기
정의림(鄭義林)과 외필논쟁(猥筆論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66권 / 105 ~ 136페이지
    · 저자명 : 이향준

    초록

    이 글은 근·현대 시기에 화순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정의림(鄭義林, 1845∼1910)의성리학적 사유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외필논쟁(猥筆論爭)에서 정의림이 자신의 성리학적 입장을 「변외필변」으로 정리하기까지의 과정과 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외필논쟁에서 정의림의 기여와 구체적인 역할이 무엇이었는지를 탐구한다.
    이 글은 외필논쟁의 경과와 정의림이 이 논쟁에 개입하게 되는 과정을 1901년 이전부터 1905년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재구성한다. 특히 정의림의 외필논쟁에 대한 입장은 정재규와의 동질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규명한다. 그것은 세 가지 측면에서의 논점으로 집약된다. 정의림은 외필논쟁에서 영남의 정재규와 보조를 맞춰 「외필」의 성리학적방향성을 비판하는 담론에 대응한 호남의 대표적인 노사문인이었다. 두 사람 모두 ‘주리’라는 관점에서 이이와 기정진의 성리학적 연속성을 가정하고, 이를 기초로 비판자들에 맞선 저술을 남겼다. 그럼에도 기정진의 리 개념을 대표하는 ‘사지연’을 수용하는 과정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기정진 성리학에 고유한 소이연과 사지연사이에 내재한 개념적 균열의 가능성이 정재규와 정의림 사이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정재규는 사지연에 보다 우호적이었지만, 정의림은 소이연에 기울고 있다.
    이상의 논의는 화순 지역에서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나타난 정의림의 학술사적 위상을 보다 섬세하게 고찰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렇게 볼 때 외필논쟁의 한계를 넘어 정의림과 그가 대표하는 학술 집단에 대한 추가적인 탐구를 수행하는것은 20세기 화순유학, 나아가 20세기 호남유학의 성격과 내용을 규명하는 데 일정한보탬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nfucian philosophical thought of Jeong Euirim, who was active in and around Hwasun(和順)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process and content of Jeong Eui-rim's development of his Confucian stance in the "Eopil-debate(猥筆論爭)". Through this examination, it seeks to explore Jeong Eui-rim's contributions and specific role in the Eopil-debate.
    The paper sequentially reconstructs the course of the Eopil-debate and Jeong Eui-rim's involvement from before 1901 to 1905. In particular, it clarifies Jeong Eui-rim's position in the Eopil-debate by highlighting bot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im and Jeong Jaegyu(鄭載圭). Three main points encapsulate their discourse: Jeong Eui-rim was a representative laborer and writer of the Honam region who responded to the discourse criticizing the Neo-Confucian direction of Eopil(猥筆) by keeping pace with Yeongnam's Jeong Jae-gyu in the Eopil-debate. Both assumed the Confucian continuity of Yi yi(李珥) and Ki Jeongjin(奇正鎭)'s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Juli(主理)" and authored works to counter their critics based on this assumpt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concept of 'Sajuyeon(使之然)', which represents Ki Jeongjin's Confucianism,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These differences stem from the conceptual gap inherent between the unique concepts of ‘Soiyeon(所以然)’ and Sajuyeon in Ki Jeongjin's Confucianism. While Jeong Jaegyu was more favorable towards Sajuyeon, Jeong Eui-rim leaned towards Soiyeon.
    This discussion highlights the need for a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Jeong Eui-rim's scholarly status in the Hwasun region as it transitioned from the 19th to the 20th century. The fact that the Confucian positions within the No-Sa school were not entirely uniform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tudying the activities of his literary group and individual literati. Consequently, going beyond the limits of the Eopil-debate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Jeong Eui-rim and the academic groups he represented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content of 20th-century Hwasun Confucianism and, subsequently, Honam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