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릴 주택(Riehl House)의 유기적 공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c Space of Riehl House by Mies van der Roh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1.02
14P 미리보기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릴 주택(Riehl House)의 유기적 공간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1호 / 129 ~ 142페이지
    · 저자명 : 박성용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근대 건축의 대가 미스 반 데어 로에(1886-1969)에 대한 연구는 주로 1920년대 후반 이후의 작품들에 집중되어 왔다. 이전 작품들은 대부분 전성기 작품과 성격이 확연히 구분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초기 작품들을 당시의 건축 담론과 무관한 습작 정도로 생각하는 오해를 불러왔다. 하지만, 본 논문은 미스의 초기 작품 또한 당시 유럽건축의 유기성 담론 안에 있음을 밝히고, 유기성의 도입에 있어 근대건축에 부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미스 초기 건축과 전성기 건축을 시대적 담론을 공유한 일련의 발전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미스의 최초 의뢰 작품인 <릴 주택, 1907>이다. 해당 주택은 대지현황 및 배치, 공간구조 및 형태구성 등이 단순명쾌하여 연구의 분석에 적합하다. 또한, 의뢰자 알로이스 릴 또한 미스의 멘토로서 미스 건축 철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연구방법 및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기성 개념과 당시 유럽 건축계의 유기성 경향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유기적 건축과 미스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미스의 건축이 유기성 개념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서술했다. 마지막으로 알로이스 릴의 철학경향과 미스의 건축철학의 관계를 살펴본 후, <릴 주택>의 배치, 평면, 입면, 사진 등을 분석하여 그것이 가지고 있는 유기적 특징을 도출했다. 연구는 문헌분석과 도면분석을 위주로 진행되었다. (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지와 배치. 대지는 남서-북동방향으로 긴 경사대지이며, 건물 배치는 경사지를 이용해 도시와 자연의 2분법적 구분을 따른다. 도시 방향에는 경사지 상부 정원이 위치하며, 평평하게 다듬어졌다. 수직수평의 정형성을 띈 직각 구성이며, 주변도시에 대해서는 폐쇄적이다. 자연 방향에는 경사지 하부 정원이 위치하며, 자연지형이 보존되어있다. 유기적 곡선을 활용하여 구성했고, 비정형적이며 주변 경관에 대해 개방적이다. 둘째, 내-외부 전이공간. 자연을 향한 복동쪽 입면에서 벽이 구조기둥과 분리되어 비내력 스크린으로 변화한다. 이를 통해 반-외부 로지아가 형성되어 내·외부 공간을 세밀한 조율한다. 셋째, 도시와 자연의 전이. 대지 전체에 벽체 켜들이 도시에서 자연 방향으로 병렬되며, 둘 사이에 공간적 전이를 주도한다. 도시와 자연 사이에는 건축물이 위치하여 둘 사이를 유기적으로 통합한다. 구조체와 벽이 분리된 로지아 부분과 로지아와 맞닿은 중앙 홀 부분에서 벽체 켜가 변형되며 반 외부 혹은 반 내부의 전이공간 2개가 삽입된다. 이로써 도시와 자연의 전이과정은 건축물에 의해 내·외공간의 전이와 유기적으로 통합된다. (결론) 본 연구는 미스의 초기 건축 또한 전성기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시대적 담론(유기적 공간)과 밀접한 관계 안에서 설계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형태 조작과 장식 등 단편적 방식에 의존했던 당시의 유기적 건축들과 달리 벽체 켜, 구조와 표현의 분리, 경사지 활용, 전이공간의 삽입 등 근대적이고 공간적인 방식으로 도시와 자연 사이의 유기적 통합을 이루어 냈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Most researches on Mies van der Roe have focused on works after 1920s. And his early works were misunderstood as unmatured and unrelated with the architectural discourse of the time. However, this research aims to show that his early works were also in the discourse of European architecture on organicity at the time and that its way to achieve organicity was modern. Through this aim,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Mies’ early works as a series of historical development. (Method) The study subject is Mies' first commission project <Riehl House, 1907>. Its site condition, layout, spatial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re simple and clear to analyze his intentions. In addition, the client Alois Riehl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ies’ philosophy as a mentor. The research method and sequence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rganicity, its tendency in Europe, the influence on Mies were examined. Next,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building layout, plans, elevations, and photographs of <Riehl House> were analyzed to derive its organic characteristics. (Results) First, the site is long and sloped in the southwest-northeast direction. The building layout follows the dichotomous division between city and nature using the slope. Toward the city is a garden on the top of the slope on southwest. This upper garden is leveled and has orthogonal configurations. It is closed to the surrounding urban context. Another lower garden is located toward the natural area on northeast, and the topography is preserved. With organic curves, it is informal and open to the surrounding landscape. Second, the northeast elevation wall, facing the natural area,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al pillars and transforms into a non-bearing screen. Through this, a semi-external loggia is formed to refine transition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spaces. Third, the walls on the site are parallel each other and layered from the city to nature, leading the spatial transition. Two transition spaces, the loggia and the central hall by the loggia, are inserted by deforming the layered walls. In this way, the transition between city and nature is organically integrated with the transition of indoor and outdoor space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Mies' early works were designed on the discourse of the times, organic architecture. In addition, unlike most of organic architectures of the time relied on pre-modern methods, the organicity of this house was achieved in a modern and spatial way such as wall layers, separation of structure and elevation, manipulation of slopes, and insertion of transition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