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캐트린 테너(Kathryn Tanner)의 자기- 비판적 문화론 : 탈근대주의 문화이론과 신학의 대화 (Kathryn Tanner’s Theory of Self-Critical Culture : A Dialogue between Postmodern Cultural Theories and Theolog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2.09
33P 미리보기
캐트린 테너(Kathryn Tanner)의 자기- 비판적 문화론 : 탈근대주의 문화이론과 신학의 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3호 / 421 ~ 453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본 논문은 미국의 탈근대주의 여성 신학자 캐트린 테너의 신학방법론을‘자기- 비판적 문화론’의 틀 안에서 분석적으로 다루고 있는 글이다. 테너가 제시하는‘자기- 비판적 문화론’이란 특정 사회체제와 질서를 하나님이 직접적으로 제정한 것으로 여기는 태도가‘하나님의 급진적 초월성’이란 신앙과 대립되며, 사회체제와 질서를 문화적이며 역사적인 산물로 이해할 때 그리스도교의 신학적 정치론은 우상의 덫으로부터 자유로움을 주장하는 이론이다. 이러한 관점을 가질 때 인간 사회에서 설립된 체제와 질서가 지속적인 자기비판과 개혁의 대상이 될 수있음을 테너는 강조한다. 또한 자기비판의 준거로 테너는‘타자존중의원칙’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탈근대주의 문화적 상황에 상응하는 신학적 정치론의 길을 조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필자는 테너의 자기-비판적 문화론을 두 방향으로 접근하여 논의한다.
    첫째는 신학적 자기- 성찰론이다. 포스트모던 문화이론과 신학 간의 대화를 통해 테너는 신학을 그리스도교의 문화적 활동에 대한 자기- 비판적 작업으로 정의내리고 있다. 그리스도교의 문화적 실천이 다양할수밖에 없듯이 신학 또한 파편화와 다양성으로 표출될 수밖에 없고, 이때 신학적 경계는 문화적 변동의 흐름에 따라 유동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신학과 문화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자연스럽게 신학의 다양성, 파편성 및 국지성을 옹호하는 입장으로 귀결되는데, 테너에 따르면 이러한 다양성은 궁극적으로는 신학의 창조성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신학적 자기- 성찰의 길이란 개별 신학의한계와 파편화를 인정하며 수정과 타자와의 대화에 열린 자세를 갖게하는 입장을 말한다. 둘째로는 정치·사회 질서 영역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자기- 비판적 문화론이다. 테너는 이 논의를 통해 체제유지로 경도되기 쉬웠던 전통적인 신학적 정치론, 곧 특정 체제를 하나님의 직접적 창조의 대상으로 여기는 태도를 비판하며, 어떠한 체제로부터도 자유로우신 하나님의 급진적 초월성과 확장된 대리자 개념을 통해 사회개혁적 정치론을 모색하고 있다. 테너의 이러한 관점은 바르트의‘하나님의 초월성’을 탈근대적 문화이론과 접목시킴으로 탈근대적 관점 하에서 새롭게 재해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자기-비판적 문화론이 세계내적 질서에 편입될 수 없는 하나님의 급진적 차이를 강조함으로써 위계적인 정치문화와 특정 정치질서에 대한 우상숭배적 태도를 지양할 수 있는 비판적 시각을 제공하고 있음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이러한 테너의 입장은 한국 교회와 신학계에도 탈근대주의적 신학방법론의 논의를 자극하는 생산적인 대안이 됨을 강조하고 있다.

    영어초록

    A question whether theology has self-contained and permanent principles independently from cultural changes haunts contemporary theologians. Kathryn Tanner, one of the leading postmodern feminist theologians, insists in her comprehensive works that theology is part of culture and remains in itself a cultural activity. It is because Christian social activities are created out of diverse and controversial social contexts and they become a seedbed for theological diversity and creativity. Thus according to Tanner, theology should be regarded as an activity to critically reflect upon itself in order to make an appropriate systematic understanding in accord to its own social practices. This essay deals with Tanner’s theological views on poli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logy and culture, particularly focusing on her theory of Christianity’s self-critical cultures. The essay gives an analysis of Tanner’s three methodological issues in a dialogue with the postmodern cultural theories: the first point is to define theology to be part of culture in which theology takes its position as self-critical reflection on what Christian practices demand along with cultural contexts. What interests here is her distinction from Tracy, Kaufman, and Lindbeck’s methods to affirm theological task as human universal. Instead, Tanner’s method displays that theology functions not for human universal, but remains only in terms of self-critical reflection upon particular Christian practices. This method, hence, legitimates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of theology,insofar as theology belongs to multi-cultural Christian practices.
    The second point this essay mainly concerned is Tanner’s creative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of radical transcendence of God. Central to this doctrine is her question if there is a way to avoid idolatrous identification of any political and secular orders with the divine.
    Giving a sociopolitical critique upon theological traditions such as natural law, God’s mandate of a normative order, or God’s ordination of human institutions, Tanner explicates that the doctrines of radical transcendence of God and God’s universal providential agency can lead us to the potentially self-critical cultures, since along with two doctrines, none of social orders can promulgate its position to be sacrosanct. thirdly, this essays asks what criteria of Christian belief might be in facilitating self-critical culture. Tanner gives an answer to this question in terms of “respect for others and respect for difference.” As a whole, this essay, along with three points, gives a light on a path toward postmodern theological methods upholding the values of diversity and creativity on the basis of the radical transcendence of God and self-critical cul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