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자본의 측면에서 바라본 농촌여성 새마을운동의 전개와 의의 - 1970년대 동암 2리 여성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the Rural Women’s Saemaul Movement from the Aspect of the Social Capital: Focused on the Case of Dongam-2Ri(Sungju, Korea) in the 1970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3.08
41P 미리보기
사회적 자본의 측면에서 바라본 농촌여성 새마을운동의 전개와 의의 - 1970년대 동암 2리 여성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54호 / 339 ~ 379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화, 정용교

    초록

    이 연구는 1970년대 농촌마을을 배경으로 여성 새마을운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어떤 사회문화적 특징을 지녔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다시 말해, 이 연구는 그 당시 전통적 신분제 형태로 삶을 영위하였던 농촌여성들이 마을공동체의 의사결정에 어떤 과정을 거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이에 의해 신뢰와 네트워크로 대변되는 사회적 자본형성에 어떻게 이를 수 있었는지에 대해 파악한다. 이를 통해, 농촌여성 새마을운동이 종속적, 의존적 농경사회의 특성에서 벗어나 주체적, 능동적 산업사회로 나아가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하였음을 밝힌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새마을운동은 농촌여성의 ‘참여’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새마을교육의 효과로 잘살기 위한 노력에 남녀의 구분이 없음을 인지하면서부터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뢰’는 마을의 새마을협의회와 부녀회조직이 공적 조직으로 인정되면서부터 확대될 수 있었다. ‘네트워크’ 형성은 마을공동체 내・외부와의 인간관계의 확장을 모두 아우른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농촌여성들이 새마을운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면서 신뢰에 토대한 마을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었고, 그것은 나아가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에 중요한 발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농촌여성 새마을운동이 어떤 과정으로 전개되었으며, 또 어떤 경제사회적 의의를 띠는지에 대한 우리의 논의는 그동안의 새마을관련 연구에 새로운 전망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women’s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was concretely developed and wha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t had. In other words, in this study we are trying to comprehend how the rural women who lived under the traditional feudal system at that time enthusiastically participated in the village community’s decision making, and to explore the kind of process they went through to form the social capital which represents participation, trust and network. Through this study, we seek how the rural women’s Saemaul Movement got out of the subordinate and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rural society and moved forward to an independent and active industrial society.
    According to the study’s result, the Saemaul Movement greatly influenced rural women’s participation. This could be started when one recognized that there was no distinction of age or gender between those who wanted to live well under the effects of Saemaul education. ‘Trust’ could be extended when the village’s conference and the women’s association were recognized as official organizations. ‘Network’ formation encompassed the human relations of inside and outside village community. In this respect, rural women participated in the Saemaul Movement in earnest by helping to build a village community based on trust. And this offers an important step in forming a network in a local community. These discussions of how the rural women’s Saemaul Movement developed and what social impact it had can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Saemaul research thus f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