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7세기 익산지역 백제 연화문수막새 제작기법 연구-익산 왕궁리 유적, 제석사지, 미륵사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ethods of Production of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Dating Back to the 7th Century (Baekje period)-With focus on relics unearthed from Wanggung-ri, Iksan and sites of Jeseoksa Templ)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3.12
39P 미리보기
7세기 익산지역 백제 연화문수막새 제작기법 연구-익산 왕궁리 유적, 제석사지, 미륵사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12권 / 3호 / 179 ~ 217페이지
    · 저자명 : 양숙자, 정지연, 박원지

    초록

    본고는 익산지역의 백제시대 유적을 대표하며 그 창건연대가 7세기로 비정되고 있는 익산 왕궁리 유적, 제석사지,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연화문수막새의 제작기법을 분석한 논문이다. 세 유적에서 출토된 연화문 수막새 중 완형이거나 제작기법이 잘 관찰되는 225점을 대상으로 형태적 속성을 바탕으로 유형분류를 시도하여 총 20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유형별 제작기법을 관찰, 분석하여 백제 사비기 익산 양식 연화문 수막새의 특징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연화문수막새의 유형분류 결과와 제작기법을 볼 때 세 유적 중 가장 먼저 축조가 시작된 유적은 왕궁리 유적으로, 왕궁리 유적→제석사→미륵사지의 시간 순서를 보이고 있다. 이 세 유적에서 출토된 연화문수막새들은 부여 양식의 연화문수막새와 유사하면서도 제작기법과 형태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데, 특히 가장 늦게 축조가 시작된 미륵사지 출토 수막새는 연판 수가 8엽→6엽으로 변화하는 등 문양의 변화가 관찰되며, 그 제작기법에서도 부여뿐만 아니라 다른 두 유적에서도 전혀 보이지 않는 새로운 방식들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요인은 7세기 대에 익산지역에서 왕실 주도의 대규모 토목공사가 거의 동시기에 행해지고 있는 점에서 기인한 점이 크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ethods used in the production of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unearthed from the historic sites in Wanggung-ri, Iksan, Jeseoksa Temple, and Mireuksa Temple, which date back to the 7th Century and represent historic sites of the Baekje period in Iksan. A total of 225 items of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which were in good condition or which displayed the used techniques well, were selected. They were divided into 20 types depending on appearances. The methods used for each type were examined with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dating back to the period of Baekje when Sabi (present-day Buyeo) was the capital of the kingdom.
    The types of said roof-end tiles and production methods used tell us that those unearthed from the site in Wanggung-ri are the oldest ones, followed by those found from the site of Jeseoksa Temple and those found from the site of Mireuksa Temple. They look similar to the Buyeo-type, yet display a difference in production methods and shapes. In particular, those unearthed from the site of Mireuksa Temple, which was built later than the other two, display drastic changes in patterns, e.g., from eight-petal lotus flower to six-petal, and adopt relatively new production methods that are not observed from those unearthed from the other two sites or Buyeo. Such change is deemed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large-scale civil work was carried out simultaneously in the entire Iksan area under the leadership of the royal court during the 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