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커먼즈와 커뮤니티 관계의 역사적 변동― 제주도 선흘리 마을과 선흘곶-동백동산 관계를 사례로 (Historical Evolution of Relations between Commons and Community : Focused on the Case of Dongbaek-dongsan - Seonheul-ri in JEJU Island)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7.04
45P 미리보기
커먼즈와 커뮤니티 관계의 역사적 변동― 제주도 선흘리 마을과 선흘곶-동백동산 관계를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로컬리티 인문학 / 17호 / 119 ~ 163페이지
    · 저자명 : 정영신

    초록

    이 글은 커먼즈론을 통해 숲과 마을, 커먼즈와 커뮤니티 관계의 역사적 변동을 다룬다. 근대 이전의 시대에 마을숲은 지역의 주민들이 이용하는 가장 중요한 커먼즈였다.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 커먼즈로서의 마을숲은 근대적인 소유제도가 도입되면서 대부분 국유지나 민유지로 전환되었다. 한국의 제주에서도 마을마다 곶자왈이라는 마을숲이나 공동목장을 오랫동안 이용하고 관리해 왔지만, 근대적인 소유제도의 도입으로 마을숲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마을주민 공동의 숲이라는 관념과 등록된 소유주들의 재산권 행사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에서, 마을숲은 마을 주민들의 가장 중요한 생계자원의 역할을 벗어났지만, 그 역할을 다양한 방식으로 되살리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커먼즈로서의 마을숲의 역사를 복원하고 커먼즈의 현대적 의미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마을공동체와 마을숲 사이의 역사적 관계를 분석하고, 둘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는 실천활동(commoning)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일제시기의 근대적 소유권 제도의 도입과 위로부터의 목장조합의 건설, 제주4‧3사건으로 인한 공동체의 붕괴와 5‧16이후의 조치들로 인한 마을공동재산의 박탈, 자본주의적 근대화의 추진 과정을 통해 커먼즈와 커뮤니티의 역사적 관계가 변화해 온 양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생태관광을 통해 숲과 마을, 커먼즈와 커뮤니티의 관계가 새롭게 형성되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커먼즈의 현대적 의미를 탐색한다.

    영어초록

    The history of Dongbaek-dongsan can provide an interesting case- study for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ommons. Located in Seonheul-ri, a small rural town of 700 populations, Dongbaek-dongsan, literally meaning camellia garden or camellia forest, has been managed by the local villagers for hundreds of years. Until 1960’s, Dongbaek-dongsan had been a source of important livelihood resources such as firewood, charcoal, medicinal herb, and drinking water. But in 1971, the Jeju local government appointed Dongbaek-dongsan as a local monument and banned its utilization by the villagers. The introduction of running water system in the same year further reduced the importance of Dongbaek-dongsan in the communal life. However, after 40 years of alienation, Dongbaek-dongsan was designated as a Ramsar wetland in 2011 and the sudden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have happened. Dongbaek-dongsan now emerged as an invaluable source for eco-tourism and as the village’s moral and economic asset, possibly creating more jobs for younger generations. In order to properly protect and manage the forest, the villagers perceived it necessary to conceptualize Dongbaek-dongsan as the commons of the national and global citizens including everyone touring the Ramsar wetland, rather than as a mere village forest. In this context, by examining the every-day commoning practices of the villagers and the resulting community reactivation in Dongbaek-dongsan, I would demonstrate how a political ecological approach can be a useful and interesting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comm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