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컬 브랜딩을 활용한 커뮤니티 재생계획 - 4.19사거리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Community Revitalization Plan Using Local Branding Strategy - Focused on the Urban Revitalization Project Area of the 4.19 Intersection)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10
16P 미리보기
로컬 브랜딩을 활용한 커뮤니티 재생계획 - 4.19사거리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시설계학회
    · 수록지 정보 : 도시설계 / 23권 / 5호 / 57 ~ 72페이지
    · 저자명 : 송기황, 박태원

    초록

    지역의 장소성 강화와 방문경제의 실현을 위한 도시재생의 방법으로, 지역 자원을 활용한 로컬 브랜딩에 관한 연구를 4.19도시재생 활성화 구역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브랜드 계층구조이론을 도시재생사업의 로컬 브랜드 체계에 접목하여 구조화하고, 지역 자원과 다양한 커뮤니티기반 콘텐츠의 브랜드 가치를 거주민과 방문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체계를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첫째 4.19민주묘지와 북한산을 중심으로 분포된 자연ㆍ생태ㆍ 역사 자원 등의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커뮤니티 브랜드’를 설정하였다. 둘째 권역별 특성과 주제를 반영한 ‘장소 테마 브랜드’를 구성하였다. 셋째 각각의 장소 자원과 유ㆍ무형의 프로그램을 반영한 ‘로컬 콘텐츠 브랜드’를 설정하였다. 넷째 지역 커뮤니티에 의한 브랜드 연계 및 부가 가치를 이끌어내는 ‘브랜드 확장’의 단계를 통해 로컬 브랜딩의 계층구조를 설정하여 각 위계별 브랜드 전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계층화된 도시재생 사업의 로컬 브랜드는 지속적인 주민참여에 의한 의미의 확장, 범용성 등의 확보를 통해 지역 여건의 변화에 대응하고, 꾸준한 소통과 진화를 통해서 지역 브랜드의 가치를 지속시켜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a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to strengthen a sense of place and improve the tourism economy, we studied local branding strategy utilizing local resources for the 4.19 Urban Revitalization Area. We adopted the hierarchical theory to operationalize the local branding strategy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n, we proposed a branding structure delivering the brand value of local resources and various community-based contents to residents and visitor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twofold. First, we established a ‘Community Brand’ focusing on the core values such as natural, ecological, and historical resources around the ‘April 19th National Cemetery’ and ‘Bukhan-Mountain.’ Second, we proposed a ‘Place-Themed Brand’ reflecting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and themes. Third, we introduced the ‘Local Contents Brand’ reflecting local resources that led to a wide range of programs, includ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erforming arts, and community festivals.
    Finally, in the stage of 'Brand Expansion,' we intended to link each local branding strategy through a hierarchical structure in order to add value to the local communities. The hierarchical local branding strategy requires continuous updates from citizen participation and the change in social, physical, and political changes.
    In this way, the local branding strategy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can help elevate the value of local bran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시설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