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산 지하철 휴게 공간 리디자인에 대한 연구 - 대연역 생태 공간 개발 중심으로 - (A Study on Redesign of Busan Subway Rest Area -Focusing on Ecological Space Development in Daeyeon Station-)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12
8P 미리보기
부산 지하철 휴게 공간 리디자인에 대한 연구 - 대연역 생태 공간 개발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8호 / 401 ~ 408페이지
    · 저자명 : 장무, 김철수, 조수문, 양혜민, 장한문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부산 대연역 지하철 휴게 공간 리디자인을 통해 향후 관련 디자인에 기초적인 자료로 삼기 위함이다. 또한 부산의 기타 지하철역에 적용함으로써 부산 전체의 쾌적한 도시 건설을 유도함으로 부산의 발전을 촉진하며, 도시주민의 편의성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지하 공간 개선 목적은 지상 환경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간개발을 합리적으로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제안은 시민편의 활용, 지면 및 도시 지하 환경 개발 가치가 있다. 도는 공공장소 시설 및 장소의 보존과 같은 이유에서 출발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휴게공간의 연속성과 접근가능성을 중시하고, 도시디자인 요소 방면에서는 구역경제, 생활 방식, 생태기술 등의 요소 연구에 중심을 둔다. 이 연구에서는 자연채광 시스템, 벽면녹화시스템과 음이온환기시스템 등 기술 융합을 통해서 지하 휴게 공간 리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하공간의 기본방향은 ①치유 기능② 녹색 에너지 제어 기능 ③ 실용 기능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기대하는 결과는 도시 공공 공간 부족의 문제를 대한 도시환경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는 것이다. (결과) 도시 공간형태구성과 시설구성 요소적인에 따라서 도시 지하 휴게 공간 개발을 이용목적, 휴게공간에서의 개선점 등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나온 응답자의 선호와 만족여부를 토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현재 대연역 부근에 거주하는 인원은 대부분 단독주택으로 인구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라 부경대학교, 경성대학교, 동명대학교 유학생 대학생 등 등 학생들의 주요 자취 지역으로 선호되어 높은 밀집이다. 하지만 밀집도에 비해 휴게공간이 많이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휴게 공간 부족 문제의 해결책으로 등장한 것이 입체적인 도시공간계획이다. (결론) 대연역 지하철 지하 휴게 공간 리디자인(재개발)을 통해서 향후 관련 디자인에 기초적인 자료로 삼을 수 있고, 또한 부산의 기타 지하철역에 적용함으로써 부산 전체의 도시 건설을 제고하고 부산의 발전을 촉진하며, 도시주민의 편리성을 제고하고 삶의 질을 좋아지는 것이다 . 이를 위해 공공 공간의 연속성과 접근가능성을 중시하고, 구역경계, 생활 방식, 생태기술 등의 도시디자인 요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redesign the rest space of Busan Daeyeon subway station as the basic data for future design. It attempted to make this research applicable to other subway stations in Busan, guide Busan to build a more comfortable city, promote its development, and improve the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of city dwellers. To improve the underground space requires putting forward reasonabl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ace without damaging the ground environment. These renovations are beneficial to improve the use of underground by citizens and the value of urba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ximize the preservation of space and facilities in public places. (Method) We emphasized the continuity and accessibility of the space for rest and focused on the elements of regional economy, lifestyle, and ecological technology in urban design. In this research, we hoped to redesign the underground rest area through technology integration, such as natural lighting system, vertical greening of walls, and negative ion ventilation system. The basic direction of underground space design was divided into (1) the healing function; (2) Green energy control function; and (3) practical function.
    To seek solutions to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shortage of urban public space. (Resul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urban space and the composition of facilities,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urban underground leisure space will be studied based on the survey data of the functional needs and improvement points of the respondents. At present, most of the people living near Daeyeon station are students, and the population density is relatively high. However, due to the convenient transportation, it has become the preferred residenc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yungsung University, and Tongmyong University.
    However, compared to the population density, the rest space is insufficient.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used three-dimensional urban space planning . (Conclusion) Through the redesign (redevelopment) of the underground rest area of Daeyeon subway station,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future design, and it can be applied to other subway stations in Busan, which will enhance the urban construction of the whole Busan and promote its development . Furthermore, i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rban residents and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we should emphasize the continuity and accessibility of public space, and pay attention to the design elements of urban space, regional boundaries, lifestyle, ecological technology, and other urban design el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