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폴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기반한 이청준 소설「퇴원」의 분석 연구 (An Analytical Study of Lee Cheong-Jun’s Novel「Leaving the Hospital」 on The Basis of Paul Ricoeur’s Mimèsis Theory)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8
17P 미리보기
폴 리쾨르의 미메시스 이론에 기반한 이청준 소설「퇴원」의 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 / 16권 / 4호 / 273 ~ 289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순

    초록

    본 연구자는 폴 리쾨르(Paul Ricoeur)의 ‘시간과 이야기 사이의 매개’에 대한 연구를 위한 미메시스mimèsis의 세 가지 모멘트 – 미메시스Ⅰ, 미메시스Ⅱ, 미메시스Ⅲ-이론에 기반하여 이청준 소설의 치유적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이청준 소설이 치유를 위한 교과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증명하려는 것이다. 그의 전 소설에는 유년 시절 경험한 ‘전짓불’과 ‘허기’가 무한으로 흐르고 있다. 무한으로 흐르는 이 두메타포는 결국 하나로 만나는 지점이 있고, ‘언어의 문제’가 바로 그 지점이다.
    「퇴원」을 들여다 보면 이 ‘전짓불’과 ‘허기’는 결국 ‘말’의 문제임을 알 수 있고, 그의 긴 소설 여정이 ‘언어’에 관한 천착으로 이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등단작 「퇴원」을 분석하는 일은 그의 소설이 치료학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밖에 없음을 인식하는 일이 된다. 왜냐하면 많은 병리의 시작이 ‘말’에 의한 것임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전짓불’은 외부적 억압에 의해 말을 할 수 없었던 경우고, ‘허기’는 주눅으로 인해 스스로 말을 하지 않은 경우다. 따라서‘전짓불’과‘허기’의 이야기는 종국에‘말’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문학 치유의 과정에서는 미메시스된 언어활동을 통해 창조적인 뮈토스mythos의 과정을 거친다. 그렇게 재현되어 서술된 창조적 표현을 통해 참여자들은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고 치유의 흐름 안에 있게 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er explores a healing reading of Lee Cheong-Jun's novels based on the theory of the three moments of Mimèsis-Mimèsis I, Mimèsis II, and Mimèsis III- for the study of Paul Ricoeur's “Mediation between Time and Narrative”. I wants to prove that Lee Cheong-Jun's novels can serve as a textbook for healing. The metaphors of the “flashlight” and “hunger” he experienced as a child flow infinitely in all of his novels. These two metaphors flowing in infinity eventually meet as one, and the 'language problem' is the very point.
    Looking into 「Leaving the Hospital」, one can see that this 'flashlight' and 'hunger' are, after all, a problem of 'words', and it is natural that his long novel journey leads to delving deep into 'language'. 'Flashlight' is a case in which he was unable to speak due to external oppression, and 'hunger' is a case in which he did not 'speak' readily by being intimidated. Therefore, the story of' flashlight' and 'hunger' is also the story of 'word' in the end. In the process of literary healing, it goes through the creative mimesis-mythos process through mimicked language activity. Through the creative expression reproduced and described as such, the participants experience catharsis and are in the flow of hea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