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성 청계리 취락을 통해 본 한강유역 통일신라시대 촌락의 일면 (Aspect of Unified Silla Village in Han River Basin : Through the work Community in Cheonggye-li, Hwaseo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2.04
29P 미리보기
화성 청계리 취락을 통해 본 한강유역 통일신라시대 촌락의 일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4호 / 233 ~ 261페이지
    · 저자명 : 정동헌

    초록

    화성 청계리 취락은 8세기대의 통일신라시대 취락으로 주거시설인 수혈주거지, 대형저장시설인 굴립주건물지, 소형저장시설인 수혈유구, 생산시설인 작업장과 가마, 우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취락에 대한 분석 결과 당시 취락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구릉형 입지이며, 시설물의 배치는 지형과 동선 등을 고려하여 3단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입지와 시설물 배치는 주생산활동인 농경과 관련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취락의 규모는 20기 내외의 주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명 내외의 인구수가 소속되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취락의 구성민들은 개인 및 세대별로 재산을 향유하면서 경제활동을 하는 동시에 필요에 의해 작업장 및 대형저장시설인 굴립주 건물지, 우물 등은 공동으로 사용하였던 8세기대 통일신라의 자연촌으로 판단된다.
    한강유역에서는 최근 20~30기 내외의 주거지로 구성된 규모의 통일신라시대 취락의 조사가 증가하고 있다. 취락들은 규모 및 출토 유물 등에서 보편성을 띠고 있으며, 입지와 출토농기구 등을 고려할 때 농경이 생업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된 취락과 ‘신라촌락문서’의 촌락을 비교할 때 비슷한 규모의 촌락으로 추정되며, 국가의 수취대상에 포함되는 말단 자연촌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된 철제품이나 석제추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는 유물이다. 한강유역의 취락과 마찬가지로 자연촌으로 국가의 수취대상에 포함되었을 청계리 취락의 수취 담당 군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주변 지형과 군현의 추정 위치를 고려할 때 청계리취락의 수취 담당 군현은 수성군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영어초록

    The community remain in Cheonggye-li consists of cave-type residential facilities, storage facilities composed with underground and ground structures, small-scale production facilities composed with kiln and workshop, and a fountain for drinking water, thus composing a village. It is located in a hill and therefore presents a universal modality of location for Silla communities. The placement of community presents the modality of three units.The location and placement is the factors of occupation of which focus is farming. The community seems to consist of about 20 residences and about 100 villagers. The community seems to be a naturally formed Unified Silla village in the 8th century, in which villagers can possess property and carry out economical activities individually or in a unit of household and jointly use workshops, large-scale ground storage structures and fountains.
    Comparing to the record of 'Silla Village Document' which informs us the status of villages in Unified Silla in the 8th century, the scale of Cheonggye-li community is similar to any other villages at that time. If taking the fact that Silla Village Document was to collect taxes into account, the governmental authority in the era of Unified Silla seems to reach even to the naturally formed terminal villages. The management of villages in Unified Silla presents the fact that the central government was successful in controlling even the naturally formed terminal villages after unification. In this regard, the Cheonggye-li community is not exceptional and steel farming tools, such as steel shovels and steel axes, seem to reflect this reality.
    If Cheonggye-li community was ruled by the power of Unified Silla and the subject of taxation, it must belong to a gun or a hyeon, a unit of local governmental agency in Unified Silla. Since the system of gun and hyeon wa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unification, its office seems to be placed within a fortress. Preceding studies show that the office of local governmental agency for Cheonggye-li community is seemingly placed in Halmisan Fortress, Doksan Fortress or Mubongsan Fortress. The offices of local governmental agency belonging to these fortresses are Geoseo-hyeon, SuseonG-gun and Jinwi-hyeon respectively. When taking the distance from Cheonggye-li community into account, the most plausible location of local governmental office is Doksan Fortress. In other words, Cheonggye-li community is a naturally formed terminal village belonging to Suseong-g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