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석기조성과 생업경제 -호남지역과의 비교- (Stone-tool assemblages and alternative subsistence economy of the Songguk-ri culture in Jeju islan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0.10
33P 미리보기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석기조성과 생업경제 -호남지역과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36권 / 63 ~ 95페이지
    · 저자명 : 김민구, 권경숙

    초록

    제주지역 송국리문화가 한반도 본토로부터의 주민이주에 의해 형성된 문화라는 점에는 큰 이견이 없다. 본토와 제주도 간의 문화적 친연성은 인정되지만 제주도는 벼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이라는 환경적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벼농사에 기반을 둔 본토의 송국리문화는 제주도로 유입되면서 어떤 형태로든 새로운 적응 방법을 찾아야 했을 것이다. 제주해협을 놓고 마주하는 두 지역 생업경제상의 차이는 일차적으로 석기조성에서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호남지역과 비교했을 때, 제주도 송국리문화 취락의 석기조성은 석도와 석촉은 낮은 비율을 보이는 반면 연석과 요석 같은 식량처리구는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어패류가 육상 포유류에 비해 안정적인 자원이라는 점과 일본 오키나와 같은 도서지역에의 초기 적응이 육ㆍ해상 포유류보다는 어패류와 견과류 이용에 기반을 두어 이루어졌다는 연구 결과를 볼 때, 제주도 송국리형 주거지에서 석촉이 드물게 발견되는 것은 수렵활동의 감소를 의미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식량처리구의 비율이 높은 것은 야생식물 가공의 필요성이 증가한 것과 관련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청동기시대 한반도 본토의 작물조성으로 보아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농업기반은 맥류ㆍ두류ㆍ잡곡류 중심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제주도에서는 밭농사와 함께 견과류의 이용 역시 중요시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화분분석과 대형식물유체 분석결과에서도 암시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stone-tool assemblages recovered from 853 pit-dwellings in order to shed light on subsistence economy of the Songguk-ri culture in the Jeju island. The Songguk-ri culture has spread widely across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ca. 800 B.C. and reached the Jeju island by ca. 300 B.C. Although the economic base of this culture is generally assumed to be agriculture, especially of rice (Oryza sativa), alternative subsistence strategy must have been sought in the Jeju island as its environment provides hostile conditions for rice cultivation.
    A regression-based analysis of 109 stone-tool assemblages indicates that little difference in typological richness is registered betwee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eju island. Compositional variability of the assemblages, however, reveals that stone knife and arrowhead become rare or extinct in the Jeju island, while basin and slab metates follow the opposite patterns. Because stone knife presumably functioned as a harvesting tool of rice, its disappearance in the stone-tool assemblages suggests a decline of rice agriculture in the insular region. Similarly, a scarcity of stone arrowheads imply decline of hunt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an abundance of basin and slab metates points towards increased needs to process cereals and nuts, and this interpretation i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palynological and archaeobotanical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