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남 보성군 장좌리 기받이별신제의 음악민족지 (Musical Ethnography of a Gi-baji Byeolsinje (Community Ritual) in Jangjwari, Boseong-gun, Jeolla-namdo)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12
37P 미리보기
전남 보성군 장좌리 기받이별신제의 음악민족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45호 / 7 ~ 43페이지
    · 저자명 : 강다현

    초록

    마을굿은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고, 마을공동체의 화합을 위해 놀이와 음악이 행해지는 종합예술형태의 문화행위이다. 하지만 마을굿은 농촌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점차 소멸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마을굿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현지조사를 통한 음악민족지는 꼭 필요한 것이다. 그것을 통해 전반적인 마을굿의 음악문화적 특징과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장좌리는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에 위치한 마을로 군고권 지역에 포함된다. 장좌리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날이 되면 기받이별신제를 연행하며 전통을 전승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월 엿샛날 마을주민들은 소동회를 열어 굿을 위한 준비를 하고, 열나흗날에는 당산굿을 지내며, 보름날에는 기받이별신제를 모신다.
    장좌리 마을굿은 깃발이 많이 쓰이는 것이 특징이고 이러한 이유로 ‘기받이’별신제라는 명칭을 얻었다. 기받이별신제에 쓰이는 기는 총 5가지이며, 별신제기․영기․오방기․태극방기․각종 소기가 바로 그것이다. 이렇듯 다양한 깃발이 존재하는 것은 옛 군사문화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장좌리 기받이별신제의 의식절차는 12당산에서 굿의 시작을 고하는 12당산굿, 기를 통해 내려오는 신을 받는 기받이굿, 마당밟이, 마을의 뭇별신들을 모셔오는 혼맞이, 원님이 유죄자를 벌하는 원님놀이, 하당 제사, 오방을 돌며 아직까지 마을에 남아 있는 신을 모시는 오방돌기, 말밥․기버리기로 구성된다.
    이 중 12당산굿․기받이굿․혼맞이 등은 종교적 성격을 갖는 절차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며, 징과 법고 등의 악기를 중요하게 여기는 군고권 농악의 특징을 전승한다. 또한 장좌리는 원님놀이라는 굿놀이를 통하여 여전히 마을굿의 의식적 성격을 고수하고 있다.

    영어초록

    Jangjwa-ri village people prepare for Guibaji-Byeolsinje (“village ritual of receiving flags”) from the sixth day of January in lunar calendar. They hold rituals for the Sangdang (“upper shrine”) and Jungdang (“middle shrine”) on the fourteenth day and village ritual on the fifteenth day. The ritual is being held in order of 12 Dangsan-gut (shrine ritual)-Gibaji-gut (flag ritual)-Madang balbi (household ritual)-Honmaji (ancestral ritual)-Wonnim nori (play of head of the village)-Hadang (ritual in “lower shrine”)-Obang dolgi (round five places)-Gi beorigi (send off flags).
    In Jangjwa-ri, religious rites such as Gibaji-gut and Honmaji are important. The instruments as Jing (large gong) and Beobgo (small drum)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s.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ngo area. Also, traditional ceremony is still handed down through plays such as Wonnim nori which combines entertainment and ritual.
    The music of village ritual in Jangjwa-ri exhibits both the common traits of Gungo area and th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The importance of drum and gong is found in other Gungo area music. The rhythm and the playing methods of the village, such as the combination of the small gong and the large gong, also show the common traits of Gungo area. The four-beat of triple rhythm is also a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farmers’ band music.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many kinds of flags has made the village ritual in Jangjwa-ri as a unique one which is not shown in the neighboring villages. The five-beat rhythm and the three-beat rhythm are the major rhythmic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