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여 동남리 49-2번지 출토 백제 목간의 재검토 (A Review of Baekje Wooden Tablets Excavated at 49-2 Dongnam-ri, Buyeo)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06
23P 미리보기
부여 동남리 49-2번지 출토 백제 목간의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30호 / 69 ~ 91페이지
    · 저자명 : 윤선태

    초록

    부여 동남리 49-2번지 출토 목간은 이 유적의 건물지에서 생산 폐기되었던 백제 사비기의 목간이다. <목간1>은 형태적으로나 묵서 내용으로도 중국 漢代의 木牘과 유사하다. <목간1>의 앞면과 뒷면에는 이 유적(관서)에서 사용했던 지출 내역을 항목별로 나누어 기록하였는데, 정식의 장부에 정리할 때 참고하기 위해 작성했던 메모용 목간으로 추정된다. <목간1>의 앞면에는 ‘夫逆’의 지출항목만을 기록하였고, 그 뒷면에는 그 외의 기타 지출항목들을 일괄 기록하였다. ‘逆’은 <목간2>에도 나오는데, 종래 이를 ‘수납’의 의미로해석하였다. 그러나 이는 <목간2>에는 맞지 않는다. <목간1>과 <목간2>에 나오는 ‘逆’ 자는 서로 일관성 있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필자는 이 유적의 위치와 관련하여 ‘逆’ 자를 유적 남쪽의 왕포천을 운하로 활용하여 백마강 본류에서 ‘거슬러(逆)’ 올라오는 각종 물품의 하역 작업을 뜻하는 의미로 새롭게 해석하여 보았다. <목간2>는 ‘夫逆’의 특정 사례로 보이는 ‘稗逆’, 즉 곡식인 피(稗)를 왕포천으로 운송 하역할 때 所用된비용을 凡進, 凡逆, 凡運, 凡送 등 하역의 하위 작업별로 나누어 그 일을 담당했거나 관리했던 인물들에게 각각 지급했던 5두의 금액을 기록했던 장부용 목간으로 이해된다.
    지출 내역들을 총괄해 기록한 <목간1>에 ‘夫逆’만을 별도로 구분하여 앞면에 메모하였던 점, 또 ‘夫逆’은기타 지출과 달리 일자별로 소용된 비용의 출납 사항까지 상세히 메모해둔 점, 그리고 ‘夫逆’에 소용된 지출규모가 뒷면의 기타 지출에 비해 월등히 큰 점 등으로 볼 때, ‘夫逆’이 이 관서의 가장 핵심적인 업무였다고생각된다. 이러한 목간의 내용으로 볼 때, 목간출토유적은 왕포리 일대 금강 본류로 漕運된 세금을 왕포천을 운하로 활용하여 사비도성 남단으로 재차 운송하는 하역 업무를 관할하였던 관부가 아닌가 생각된다. 한편 <목간2>로 볼 때 세세한 지출에 곡식이 사용되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는데, 그 지출 내역을 총합하여최종 정리한 <목간1>에는 이를 金으로 환산하여 기록하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기존에 출토된 ‘一斤銘’ 석제 거푸집 등을 함께 고려할 때, 사비기 백제에서 세금의 수납이나 세부 지출에 곡식이나 포목 등 현물화폐가 사용되었지만, 歲入歲出 등 국가재정의 운영이나 회계장부상에는 金이 기축통화로 환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관련 자료의 증가를 기대해본다. 또 <목간1>에는 메모할 공간이 부족할 때 각 행 하단의 여백과 행간을 활용하여 기록한 독특한 서사 방식도 확인되어, 백제의 문서행정을 묵묵히 수행했던 말단 관리의 일상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영어초록

    The Baekje wooden tablets excavated at 49-2 Dongnam-ri, Buyeo, i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and discarded at the building site of this ruins. On the front and back of <Mokgan1>, the details of ex penditure used in this historical site (government office) were recorded by item, and it is presumed to be a note-taking tablet prepared for reference when organizing it in the official accounting books. Only ex penditure items of ‘夫逆’ were recorded on the front of <Mokgan1>, and other expenditure items were recorded on the back. The letter ‘逆’ is also shown in <Mokgan2>, and it was previously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reception’. However, this does not fit <Mokgan2>. The letter ‘逆’ in <Mokgan1> and <Mokgan2> need to be interpreted consistently with each other. Accordingly, regarding the location of this site, I newly interpreted the letter ‘逆’ as meaning of the unloading of various taxes from the main stream of the Geumgang River to coming up the Wangpocheon Stream in the south of the site as a ca nal. <Mokgan2> is understood as a note tablet that recorded the amount of five mal(斗) paid to each person who was in charge of the work accepting the cost used to transport and unload the grain from the Wangpocheon stream.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se wooden tablets, it is believed that the excavation site was in charge of unloading the tax collected from the main stream of the Geumgang River in Wangpo-ri to the south ern end of Sabi capital using Wangpocheon Stream as a canal. On the other hand, from <Mokgan 2>, it can be clearly seen that grain was used for detailed expenditure, and it is noteworthy that <Mokgan 1>, which is finally summarized by summing the expenditure details, was recorded by converting it into gold. Considering the previously excavated stone molds with a weight unit of “1 geun,” it means that in Baekje, spot currency such as grain and cloth was used for tax collection and detailed expenditure, but gold may have been converted into a key currency for national finance or accounting books. I look for ward to an increase in related data in the future. In addition, on the front and back of <Mokgan 1>, when there was not enough space to write down, a unique recording method was also identified using the margin and space at the bottom of each line, giving a glimpse of the daily life of the low-ranking of ficial who hard carried out Baekje’s document adminis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