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 이이의 ‘리기지묘(理氣之妙)’ 사유에 대한 재고찰 (Reconsidering the Thought of Yulgok Ii’s ‘Li-gi ji Myo(理氣之妙)’)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5.05
42P 미리보기
율곡 이이의 ‘리기지묘(理氣之妙)’ 사유에 대한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2권 / 37 ~ 78페이지
    · 저자명 : 김동희

    초록

    본고는 율곡의 ‘리기지묘(理氣之妙)’ 사유에 대한 재고찰을 통해, 그의 리기 사상의 체계는 이분법적 이원론이나 환원론적 일원론의 체계가 아닌, 통전적이면서 유기체적인 체계임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먼저 율곡의 리기 사상을 서양철학의 배타적 실체개념에 입각한 ‘리기 이원론,’ ‘객관적 관념론,’ 또는 ‘물질과 정신의 대립적 가치론’으로 규정하는 선행연구를 재검토하고, 선행연구의 문제의 소재를 율곡의 ‘리기지묘’ 사유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찾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에 두면서, 본고는 ‘리기지묘’ 사유의 두 구성원리와 그 전개인 두 이론을 존재론적 차원과 우주론적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두 구성원리는 리기의 ‘혼연무간’의 총체성과 그 대립적 속성을 구현하는 ‘원불상리(元不相離)’와 ‘실불상잡(實不相雜)’의 원리로서, 두 원리의 존재론적 차원과 우주론적 차원은 ‘리기지묘’와 그 전개인 ‘기발이리승(氣發而理乘)’과 ‘리통이기국(理通而氣局)’을 관통한다. 존재론적 차원에서 논하자면 ‘리기지묘’는 ‘리기본합(理氣本合)’ 으로 ‘미연(未然)’의 ‘기발이리승’과 ‘미응(未應)’의 ‘리통이기국’으로 전개되고, 우주론적 차원에 있어서는 ‘리기지묘’는 ‘리기지묘용(理氣之妙用)’으로 ‘이연(已然)’의 ‘기발이리승’ 과 ‘이응(已應)’의 ‘리통이기국’으로 전개된다. 본고는 이와 같이 분석된 두 이론을 결론부에서 다시 창조적으로 종합하여 율곡의 ‘리기지묘’ 사유를 ‘우주적 존재론’과 ‘존재적 우주론’으로 이론화하고, 그의 리기 사상이 통전적이면서 유기체적인 체계임을 해명한다.

    영어초록

    This essay aims to demonstrate Yulgok Ii(栗谷李珥, 1536~1584)’s philosophy of li-gi(理氣) is holistic and organic system, which is not dichotomous dualism, and reductive monism, neither, by reconsidering the thought of Yulgok Ii’s ‘li-gi ji myo(理氣之妙).’ In order to approach more efficiently to the purpose, it firstly reassesses the previous studies that define Yulgok’s philosophy in terms of ‘li-gi dualism,’ ‘objective idealism,’ or ‘conflict value-theory of material and mind,’ based on a notion of exclusive substance from Western philosophy, and then uncovers the lack of their studies on the thought of Yulgok’s ‘li-gi ji myo.’ The problematic matter would lead up to a deep analysis of two constituting principles of ‘li-gi ji myo’ and its two unfolding theories in light of the ontological and cosmological dimension. Two constituting principles are ‘won-bulsangli(元不相離)’ and ‘sil-bulsangjap(實不相雜),’ which describe the wholeness of li-gi and its opposite properties, and they go through the thought of ‘li-gi ji myo(理氣之妙)’and the two unfolding theories ‘gibal-i-liseung(氣發而理乘)’ and ‘litong-i-giguk(理通而氣局)’ in the dimensions of ontology and cosmology. If ‘li-gi ji myo’ in ontological dimension comes to ‘li-gihonhap(理氣本合)’ which can take form of ‘gibal-i-liseung’ of ‘miyeon(未然)’ and ‘litong-i-giguk’of‘mieung(未應),’ in cosmological dimension it gets to be ‘li-gi ji myoyong(理氣之妙用)’ unfolding into ‘gibal-i-liseung’ of ‘iyeon(已然)’ and ‘litong-i-giguk’ of ‘ieung(已應).’ While creatively synthesizing the two analyzed theories, the thought of Yulgok Ii’s ‘li-gi ji myo’ is theorized in such a way of cosmo-ontology and onto-cosmology, and this essay makes it clearer his philosophy of li-gi is holistic and organic.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