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덕천리 분묘군 원삼국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변화 (The Characteristic Transition on Glass Beads of Proto-three Kingdom Periods excavated from Deokcheon-ri tombs, Gyeongju)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1.11
17P 미리보기
경주 덕천리 분묘군 원삼국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74권 / 74호 / 115 ~ 131페이지
    · 저자명 : 김동윤, 김나영, 이석범, 김규호

    초록

    본 논문은 원삼국시대로 추정되는 경주 덕천리 분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파편 53점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화학 조성을 분석하여 목관묘와 목곽묘로 구분되는 묘제 형식에 따른 유리 문화의 변천과 흐름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가시적 특성 및 미세구조는 실체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화학 조성은 에너지분산형분광기가 부착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경주 덕천리 유리구슬은 융제 조성에 따라 포타쉬유리군 43.4 %, 알칼리혼합유리군 35.9 %, 소다유리군 20.7 %로 다양한 유리 조성이 확인된다. 묘제 형식 중에서 비교적 선행 시기인 목관묘는 포타쉬유리군 91.7 %, 소다유리군 8.3 %로 포타쉬유리가 우세한 반면에 목곽묘는 포타쉬유리군 3.4 %, 알칼리혼합유리군 65.5 %, 소다유리군 31.3 %로 목관묘에 비해 알칼리혼합유리와 소다유리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안정제에 의한 분류에서도 목관묘 출토 유리구슬은 CaO(산화칼슘)와 Al2O3(산화알루미늄)의 함량 5 %를 기준으로 LCA–A, LCA–B, LCHA계로 LCA–A계는 벽색 포타쉬유리, LCA–B계는 감청색과 청록색 포타쉬유리 그리고 LCHA계는 벽색의 소다유리로 구분된다. 이에 비하여 목곽묘에서 출토된 유리구슬은 대부분이 LCA계로 분류되며 적갈색 소다유리 1점만 HCLA계로 확인된다. 특히, 감청색 유리는 LCA–A계와 LCA–B계가 모두 확인되나, 벽색과 청록색의 유리는 각각 LCA–A계와 LCA–B계로 구분된다. 즉, 안정제의 특성 구분은 유리구슬의 색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경주 덕천리 유적은 묘제 형식이 목관묘에서 목곽묘 단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유리구슬의 화학 조성도 포타쉬유리에서 알칼리혼합유리와 소다유리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와 같이 묘제형식에 따라 유리구슬의 화학 조성이 차이를 보이는 점은 유리구슬이 고대 문화의 특성을 반영하는 역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과학적 분석 자료의 가치를 제시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observe the microstructures and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53 pieces of glass beads excavated in the tombs of Deokcheon-ri, Gyeongju at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 The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and flows of glass culture according to the tomb styles including the wooden chamber tombs and wooden coffin tombs. While the visible characteristics and microstructures of the pieces were observed with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ir chemic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ith an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attached to it. As a result, the glass beads of Deokcheon-ri, Gyeongju showed diverse glass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ablative compositions including the potash, mixed alkali and soda glass accounting for 43.4%, 35.9%, and 20.7%,respectively. In the group of wooden coffin tombs, which were relatively earlier than the other tomb styles, the potash glass accounted for 91.7 %, which was much higher than 8.3% of the soda glass. When stabilizers were concerned,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which were LCA-A, LCA-B, and LCHA according to the 5% content of CaO(calcium oxide) and Al2O3(aluminum oxide). The LCA-A category was mostly dark blue potash glass; the LCA-B category deep blue and bluish green potash glass; and the LCHA category dark blue soda glass, which confirms close relations between glass beads and glass colors. In the group of wooden chamber tombs, the potash, mixed alkali, and soda glass accounted for 3.4 %, 65.5 %, and 31.3%, respectively, with the mixed alkali and soda glass prevailing over the potash glas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wooden coffin tombs. Most of them fell into the LCA category with one exception of reddish brown soda glass, which belonged to the HCLA category. While deep blue glass belonged to the LCA-A and LCA-B category, dark blue and bluish green glass belonged to the LCA-A and LCA-B, respectively. Thus the transitional time from the wooden coffin tomb to the wooden chamber tomb in Deokcheon-ri, Gyeongju seems to coincide with the time of a shift from the potash glass to the mixed alkali and soda glass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Thu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can help to confirm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that constructed wooden coffin tombs and that constructed wooden chamber tom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