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쾨르의 악의 상징에 대한 체험주의적 해명 (An Experientialist Account of Ricoeur's Symbol of Evi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7.06
28P 미리보기
리쾨르의 악의 상징에 대한 체험주의적 해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85권 / 2호 / 185 ~ 212페이지
    · 저자명 : 서명원

    초록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체험주의적 시각인 기본층위 범주-일차 은유에 의존하는-를 통해 폴 리쾨르가 『악의 상징』에서 주장하고 있는 악의 가능성과 현실성을 경험적으로 해명해 보려는 것이다. 일상에서 마주치는 도덕적 딜레마는 대체로 악과 관련된다. 따라서 악의 의미지반에 있어 그 폭을 규정하는 것은 악을 해명하는 논의의 출발점을 이루는 선결적 작업이다. 서구 지성사에서 악의 기원은 고대에서부터 시작된 정신사적 변증의 하나이지만 그 역사와 귀결은 간단하지 않다. 특별히 근세적 개념의 악은 리쾨르가 우려했던 것처럼 이성이라는 불안정한 이론적 개념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은 여전히 선험적 기만의 배타성을 안고 있다. 필자는 리쾨르가 경험적 범주의 한 특성으로 해석한 악이 이러한 위험성을 비켜서는 대안일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려고 한다. 리쾨르는 악의 발생의 근원적 소재를 이성 이전의 선철학적 상징인 흠, 허물, 죄에서 찾고 있으며, 전통적인 악의 기원을 경험적 범주의 발생적 사건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선의 결여라는 전통적인 악의 입장을 비켜서려는 중요한 시도일 뿐만 아니라, 흠, 허물, 죄의 본성과 구조가 신체적인 경험을 중심으로 범주화의 갈등적 국면을 견지하고 있기에, 악의 사고와 이해는 대부분 그 바탕에서부터 신체화된 의미의 상상적(은유적) 차이들을 통해 확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자는 이러한 악의 해명이 자연적 사실과 엄격하게 분리되었던 전통적인 악의 선험적 순환의 구조를 벗어나게 해줄 것으로 믿고 있으며, 리쾨르의 방법론이 자연주의적 윤리학의 방법론으로 탐색될 수 있는 해석의 가능성도 함께 제안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explain the possibility and reality of evil asserted by Paul Ricoeur as The Symbolism of Evil through the basic level category(depend on the primary metaphor), which is an experiential viewpoint. The moral dilemma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is largely associated with evil. Therefore, clarifying the width of evil in terms of its meaning base is a prerequisite to establish a starting point of arguments to explain evil. The symbolism of evil in the history of mentality in western society is one of the irreversible and intellectual accomplishments that originated from the ancient time, but its history and consequences are not as simple. It is in modern days that evil has obtained cogency along with a rational philosophical language but the explanation of evil that started from a modern concept still carries the exclusivity of transcendental deceipt in that it relies on the unstable theoretical concept of reason, about which Ricoeur was concerned. I was going to suggest that the symbolism of evil interpreted by Ricoeur as a characteristic of the empirical category could be an alternative to avoid this risk. Ricoeur sought the fundamental sources of evil in defilement, guilt, sin, which are the pre-rational pre-philosophical symbols and the traditional Symbolism of Evil is interpreted as an occurring event. This interpretation is not only a crucial attempt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evil stance charactersized by privatio boni but also means the expansion of the thought and understanding of evil from its basis through the imaginary(metaphorical) differences of the embodied meaning as the inherent nature and structure of defilement, guilt, sin maintains the conflicting aspects of categorization centering on physical experience. I believe that this explanation of evil will lead us away from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transcendental circle of evil which was rigorously separated from natural facts and I would like to suggest a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that Ricoeur's methodology can be explored into based on naturalistic eth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