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수 장계리 고분군 출토 철기의 금속학적 연구 (Metallurgical Analysis of Ironware Excavated from Janggye-ri Ancient Tombs in Jangs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11
28P 미리보기
장수 장계리 고분군 출토 철기의 금속학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문화연구 / 30호 / 409 ~ 436페이지
    · 저자명 : 박선, 앙영주, 정광용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수 장계리 고분군 출토 철기에 대한 금속학적 분석을 실시하고, 단야구 및 공구류 분석 사례와의 비교를 통하여 장수지역의 철기제작기술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금속학적 분석은 장수 장계리 고분군 8호분과 9호분에서 출토된 망치, 모루, 집게, 철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금속현미경을 이용한 미세조직 관찰, 주사전자현미경 및 그에 부착된 에너지 분산형 분광분석기를 이용한 비금속개재물 성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각 조직상의 특징과 비금속개재물의 구성성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유물의 부위별로 비교하여 철기제작에 사용된 원재료와 가공 기술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장계리 고분군 출토 망치, 모루, 집게, 철부는 고체저온환원법으로 생산된 아공석강과 공석강, 과공석강을 소재로 철기를 제작하였으며, 망치는 강도가 요구되는 두부의 탄소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별도의 열처리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단야구와 기타 철기가 함께 출토되어 분석이 행해진 증평 화성리 유적과 완주 상운리 유적 연구를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해당 유적에서 출토된 철기의 금속학적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부장된 단야구 및 공구류의 제작기술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장수 장계리 고분군 출토 철기 분석 결과와 더불어 향후 단야구와 단야구로 만들어진 철기의 금속학적 분석 결과 데이터가 축적된다면 단야구 제작에 사용된 원재료 및 가공 기술 특징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장수지역의 철기제작기술을 추론하고 시대·지역적으로 분류하여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conduct a metallurgical analysis of excavated ancient tomb ironware in Jangsu Janggye-ri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in the Jangsu area.
    Specifically, the study performs a metallurgical analysis on hammers, anvils, tongs, and iron axes excavated from Tombs No. 8 and No. 9 in Jangsu Janggye-ri.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ructure and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of non-metallic inclusions were verified through microstructure observation using a metallographic microscope and by conducting non-metallic inclusion component analysis using an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attached thereto. The results were compared by artifact part to determine the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techniques used in the iron manufacturing. As a result, the hammer, anvil, tongs, and iron axe excavated from the Janggye-ri ancient tombs were made of hypo-eutectoid steel and eutectoid steel, hyper-eutectoid steel produced by the solid reduction method,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hammer had a higher carbon content in the edge that requires strength. No signs of heat treatment were verifi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elected as comparisons research on the ruins of Hwaseong-ri, Jeungpyeong, and the ruins of Sangun-ri, Wanju where Smith’s tools and other ironware were excavated and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metallurgical analysis of ironware excavated at the ruins to verify differences i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Smith’s tools and hand tools that were buried.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e excavated ironware analysis of Janggye-ri’s ancient tombs in Jangsu, if metallurgical analysis data of ironware made from Smith’s tools is gathered, the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technology characteristics used in Smith’s tools manufacturing can be identified in detail. Consequently,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n the Jangsu area can be deduced, classified, and compared by era and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