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파주 용미리 쌍석불(雙石佛)의 시적 형상 (Poetic Figuration of Ssangseokbul (Two Rock-carved Standing Buddhas) in Yongmi-ri from the Joseon Dynas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04
29P 미리보기
파주 용미리 쌍석불(雙石佛)의 시적 형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68호 / 303 ~ 331페이지
    · 저자명 : 이승수

    초록

    경기도 고양과 파주를 잇는 혜음령 옛길, 장지산 자락에는 2기의 석불 입상이 있다. 이 글은 용미리 양위 석불을 대상으로 한 조선시대 시들을 조명하여, 거기 내재된 시선과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석불의 문화사적 위상을 밝힌 것이다. 쌍석불은 석가불과 미륵불로, 1471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세조의 명복을 빌고 성종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뜻을 담아 조성한 것이다. 기록상 조성 당시 쌍석불은 세간의 특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는 정희왕후․한명회․연산군이 휘두른 절대 권력의 금기 외에도, 당시 일반 사대부 지식인의 불교에 대한 혐의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무관심은 16세기에도 이어졌다. 16세기 들어, 쌍석불은 혜음령 길을 오간 명나라 사신들의 눈에 매우 인상적으로 비치었다. 그들은 이 장대한 석상을 석장군(石將軍)으로 불렀다. 이는 명나라 사신을 안내한 조선의 접반사들이 쌍석불의 정체에 대해 무지했거나 무관심했음을 시사한다. 이 석상은 17세기 이후 쌍석불이나 쌍미륵(雙彌勒)으로 일컬어졌는데, 석장군 호칭도 여전히 존속했다. 남성 사대부들의 한시(漢詩) 속에 그려진 쌍석불은, 신앙의 대상이라기보다는 노표(路標)나 장승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쌍석불의 조성 배경으로는, 15세기 후반의 불교문화 및 정치상황 외에 당시 입석(立石) 문화의 양상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함께 고려해야 쌍석불의 위치와 형태, 나아가 문화적 기능을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용미리 쌍석불은 15,6세기 한국 입석 문화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가 되는 문화유산이다.

    영어초록

    Two standing stone Buddhas are found on the old trail through Hyeeumryeong Pass, which connects Goyang, Paju and Jangjisan Mountain. This study attempted to illuminate poems from the Joseon period with stone buddhas in which Yongmi-ri, analyzed implied views and perceptions and unveiled the cultural-historical values of stone buddhas. Ssangseokbul, which is comprised of Sakyamuni and Maitreya Buddha, was built by Queen Jeonghui in 1471, praying for the soul of King Sejo and for the good health and longevity of King Seongjong. When the stone Buddha was being built, it didn’t draw much attention from people. In the 16th century, it greatly impressed the envoys of the Ming Dynasty of China, who would visit Joseon using the old trail through Hyeeumryeong Pass. They named the magnificent stone statue “Seokjanggun”. Since the 17th century, it has been called “Ssangseokbul” or “Sssangmireuk”. In Korean poetry written by sadaebu (scholar-officials), Ssangseokbul was closer to a totem, rather than an object of faith. In terms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oundation of ssangseokbul, menhir culture, addition to Buddhist culture and the political situations during the late 15th century should be considered to attain a complete understanding of its position, shape and cultural function. Ssangseokbul in Yongmi-ri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which is useful in building an understanding Korean menhir culture during ancient times, including the 15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