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곡리 암각화 사슴상의 의미와 도상 양식 (A Study on Deer images of the Bangudae Petroglyph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6.12
33P 미리보기
대곡리 암각화 사슴상의 의미와 도상 양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7호 / 57 ~ 89페이지
    · 저자명 : 강삼혜

    초록

    반구대 대곡리 암각화 속 사슴상―신석기 수렵생활문화의 기록

    대곡리 암각화(국보285호)는 신석기시대 초기인 7천 년 전 무렵부터 고래를 새기기 시작하여 중기인 5천 년 전 무렵에는 사슴 등 육지동물을 새기는 등 긴 시간 동안 공동어로와 수렵생활방식을 반영한 사냥예술을 남겨 놓았던 것으로 본 논문에서 파악되었다.
    대곡리 암각화 맨 왼쪽 첫 번째 A면은 고래와 포경선 그림이 대부분을 차지한 반면, 사슴은 세 점만 등장하는 등 육지동물 수량이 매우 적다. 그런데 오른쪽 암면으로 갈수록 차츰 육지동물 수량이 증가하고, 수렵 도상이 추가되어 맨 오른쪽 D면에서는 사슴 11점을 비롯하여 호랑이 등 다양한 육지동물과 활을 든 사냥꾼이 등장한다. 이러한 도상의 변화를 통해 볼 때 대곡리 암각화는 고래잡이가 주요 생업이던 시기에 맨 왼쪽 면에서부터 새겨지기 시작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신석기 중기가 되면 해수면이 점차 낮아짐에 따라 고래 사냥 비중이 줄어들고, 덫과 올무 등 원시적인 방법을 이용한 육지동물 수렵이 증가되며, 전문 수렵도구인 활의 등장으로 수렵이 용이해지자 점차 육지동물 수렵 위주로 전환되었을 것이며, 이러한 생활방식의 변화가 암각화에 반영되어 현재와 같은 배치 구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조밀하고 중첩되게 도상을 새겼으면서도 각 개체 간 상관성이 없이 독립적으로 새겨져 있는 점을 통해 이 대곡리 암각화가 신석기시대 가장 중요한 과제였던 공동 수렵과 공적公的인 분배를 위한 기록화로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해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und that the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san (National Treasure No. 285) contain images of whales and people engaging in fishing and hunting. It is presumed that these ancient artists started inscribing images of whales into the rock about 7,000 years ago, i.e., early Neolithic Age, and engaged in sculpturing work to create images of land animals like deer about 5,000 years ago, i.e., mid-Neolithic Age.
    In the “A” section on the extreme left of said petroglyphs, images of whales and whaling boats take the lion’s share, with only a small number of land animals (only three deer, for example). The number of images of land animals and hunters increases gradually on sections closer to the extreme right. In the “D” section on the extreme right are images of diverse land animals like tigers and 11 deer and even hunters with bows. With regard to the inscribed images, it is presumed that these people started the work from the extreme left when whaling was their main trade. By the mid-Neolithic Age, the sea close to the shore became shallower, and people became less dependent on whaling as a means of livelihood and more dependent on the hunting of land animals using traps and snares. With the emergence of bows, land animals probably became the main targets of their hunting. It is thought that such change in the way they hunted came to be reflected on the petroglyphs.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groups of images are inscrib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lthough made in an overlapping and dense way; they tell us that they were made as documentary pictures of their joint hunting and distribution of captured animals,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ir livelihood during the Neolithic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