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敞 龍溪里窯 성격에 대한 새로운 시각 (New view for character of Yonggea-ri kilns in Goch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3.02
29P 미리보기
高敞 龍溪里窯 성격에 대한 새로운 시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43권 / 103 ~ 131페이지
    · 저자명 : 권혁주

    초록

    龍溪里窯 발굴 이후 진행된 주된 논의는 “太平壬戌(1022)”銘 瓦片과 관련한 용계리요의 운영시기, 가마와 건물지의 관련성, 塼築窯의 존재, 초기청자의 범주에 포함되는 전축요와 토축요 관계상에서의 위치 등 제한적인 해석에 머물고 있다.
    본 글에서는 초기청자를 생산하였던 용계리요를 고창현의 관할지역으로 비정한 것을 지명유래와 주변 요지 분포현황, 고지도와의 비교, 치소성의 이동 등을 토대로 용계리요는 운영당시 古阜郡의 속현인 尙質縣 관할지역 내에 있었던 것으로 해석하였다.
    용계리요 발굴보고서 본문 내용과 도면을 바탕으로 “太平壬戌”銘 瓦片이 출토된 건물지 조사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퇴적구릉의 서편 평탄지에서 조사된 건물지와 용계리요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용계리요에서 출토된 “太平壬戌”銘 瓦片에서 판독되지 않는 ‘戌’字에 대해 北宋代 太平興國(976~983)의 연호가 “興國”을 생략한 “太平”만이 사용된 용례가 있음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유적에서 출토된 연호명평기와의 문양구성을 토대로 “太平壬戌”銘 瓦片의 연대를 재검토하였다.
    “太平壬戌”銘 瓦片이 지니는 사료적 의미를 살펴본 결과 담장시설 내부에 건립된 건물지는 용계리요 운영시기에 존속하였고, 가마의 운영과 관리, 생산품에 대한 감독 등을 목적으로 신축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太平 壬戌年 4月 이후 신축된 담장내부의 동편Ⅰ건물지와 남편건물지는 용계리요 운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건물지에 사용되었던 “太平壬戌”銘 瓦片은 北宋의 연호를 사용하다가 1022년 4월 거란 太平연호를 재사용하기로 한 고려조정의 결정이 신속하게 반영된 결과이며, 연호명기와의 출토사례가 사찰을 비롯하여 산성·치소성 등 국가 혹은 왕실과 밀접한 연관을 지닌 유적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Main discussion proceeded after excavation of Yonggea-ri kilns stays in limited interpretation such as operation period of Yonggea-ri kilns related to scrap of tile inscribed in “Taepyung Yimsul太平壬戌(1022)”, relationship between kiln and building site, existence of brick built kilns, position in the relationhsip of brick built kilns and mud built kilns included to category of Early celadon etc.
    About that Yonggea-ri kilns where Early celadon was produced, was included to Gochanghyun, this study inferred that Yonggea-ri kilns was located inside administrative area of Sangjilhyun(尙質縣) under Gobu-gun(古阜郡) then times based on origin of place name, distribution status of surrounding kilns, comparison with old map, movement of Chisoseong(治所城 castle for administrative office inp rovince) etc.
    By investigating survey status of building site where scrap of tile inscribed in “Taepyung Yimsul太平壬戌” was excavated based on content of main body and drawing on excavation report for Yonggea-ri kilns, the study drew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site examined in western plain of heap hill and Yonggea-ri kilns. This study pointed out a problem that about letter ‘Sul(戌)’ which was not interpreted in the scrap of tile inscribed in “Taepyung Yimsul太平壬戌”, there is example where on ly“Taepyung (太平)” was used - “Heungguk (興國)” was abbreviated from era name of Taepyung heungguk 太平興國(976~983) in North Song dynasty. And this study reviewed period of scrap of tile inscribed in “Taepyung Yimsul太平壬戌” based on pattern composition of flat tile with inscription of era name excavated in relic again.
    A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value as historical material and its meaning of scrap of tile inscribed in “Taepyung Yimsul太平壬戌”, this study interpreted that building sites constructed inside wall facility were newly built for the purposes of operation and abstract management of kiln, supervising of products then times when ceramic was produced. Especially, eastern and southern building sites were identified to have large implication relating to operation of Yonggea-ri kilns. Scrap of tile inscribed in “Taepyung Yimsul 太平壬戌” which was used in these building sites used era name of North Song and Taepyung(太平) era name of Chi-dan was reused in April, 1022-decision of Goryeo Royal court was rapidly reflected for use of Taepyung(太平) era name of Chi-dan. And excavation examples of tile with inscription of era name are concentrated on relic closely related to government or royal family such as mountainca stle, Chisoseong(治所城) etc. including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