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菊里聚落의 編年과 社會相 (On the Chronology and A Social Communities of the Songguk-ri Settlement in the Korean Bronze Ag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12
44P 미리보기
松菊里聚落의 編年과 社會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광장 / 29권 / 29호 / 1 ~ 44페이지
    · 저자명 : 안재호

    초록

    청동기시대 후기의 송국리유적은 수전농경민이 거주한 초기 취락이다. 순서배열보충법으로 3개의 획기를 설정하였다.
    Ⅰ기부터 구릉을 4개소로 분할하여 거주하였는데, 구릉의 계곡부를 메워서 대지를 조성하였다. 아마도 소규모의 수전을 곡저부에 개간하였을 것이다.
    Ⅱ기에는 각 가족체 혹은 농업공동체 단위로 주 능선상에 대형의 고상건물을 만든 시기이다. 이 고상건물은취락을 관통하듯이 일렬로 배치되며 가옥처럼 짧은 시간동안에만 사용되었다. 수전농경민으로서의 정체성을드러내기 위한 위세적인 기념물이라고 판단된다.
    Ⅲ기는 수장이 등장하면서 취락은 통합된다. 수전의 확대로 식량의 잉여생산을 이루었으며, 청동기를 생산하고 또 무덤에 부장하였다. 울타리로 구획된 곡물창고 2동과 수전농경의 조상신을 모신 초대형의 사당을 조성하여, 분립된 조상의례를 통합하여 취락 구성원을 결집하고 의례의 주관자로서 수장의 지위를 강화하였다.
    묘지는 독립된 구릉 말단부에 입지하며 성인묘 6기와 유아묘 2기가 분포한다. 2열을 이루면서 순차적으로 매장되었고 마지막 Ⅲ기에는 퇴장유물로서 청동기와 옥 등이 매납되었다.

    영어초록

    Songguk-ri site, in the Late Bronze Age, exemplifies the early form of communities settled by the first paddy-field agricultural tribes in the Korean peninsular. In Period I of Songguk-ri culture when the hill was divided into four for residence, the site was developed by filling up the valley area of the hill. It is assumed that a small scale of paddy fields was cultivated at the lower spot of the valley at this time.
    Period II is characterized as the time when large raised buildings were constructed on the main ridge of the hill by each family or an agricultural community. These buildings were aligned in a row across the settlement, and each of them was persisting only for one generation like other houses. They are assumed to be built as monumental edifices to express the authority and identity of paddy-field agricultural tribes.
    In Period III, the settlement was unified by the chiefs who appeared this time. The expansion of paddy fields resulted in surplus productions. Bronzeware began to be produced and buried as grave goods. Two granaries cordoned off by fences and one large shrine for ancestor gods were constructed as the means to unify the hitherto divided communities.
    The graveyard was located at the end-point of the hill and consisted of six adult graves and two child graves, which had been arranged along the two lines in sequential order. The first grave was a chief’s and buried with bronzeware, jades, and stone blades as grave go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