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菊里文化의 石器 編年 (Chronological Study of Stone Tools in the Songguk-ri Cul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5.04
34P 미리보기
松菊里文化의 石器 編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서고고학 / 32호 / 4 ~ 37페이지
    · 저자명 : 손준호

    초록

    본고에서는 토기 연구에 있어 어느 정도 한계에 봉착한 송국리문화의 편년에 대하여, 기존의 주거형을 중심으로 한 분류를 보완할 수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석기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먼저 기존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목되었던 시간성을 반영하는 속성들을 추출하여, 송국리문화 석기를 기종별로 형식 분류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분류된 석기 형식들이 송국리문화의 주요 분포 지역인 호서, 호남, 영남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형식 간 공반 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분묘 부장품과 주거지 출토품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형식 간의공존 기간은 인정되지만, 어느 정도의 일정한 변화 방향을 경향성으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석기 변화의 획기는 새로운 형식의 출현을기준으로 삼았는데, 유구석부 등장 이전의 1단계, 유구석부 등장 이후의 2단계, 삼각형석도가 등장하는 3단계로 구분하였다. 대체로 석기는 기능이 발달하고 제작이 간략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이는 농경이나 수렵 등에 있어서 생계 방식의 발전, 전쟁의 증가, 석기대량 생산 체제의 확립 등과 관련된 현상으로 이해하였다. 또, 형식학적으로나 공반 관계를 통해 볼 때 전기 형식으로부터 점진적으로진행되었으며, 새로운 기종의 등장이나 새로운 형식이 일시에 나타나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석기의 변화상은 전기로부터의 계기적 발전을 주장하는 송국리문화 자체발생설을 지지하는 결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석기와 같은 특정 유물의 분석만으로해당 문화의 기원 문제를 단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관련 유구와 유물의 세밀한 분석과 함께 기원지로 추정되는 지역의 고고학적 상황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complimenting and re-examining the chronology of the Songguk-ri Culture which has been established mainly based on pottery and dwelling pits, rather focusing on stone tools. Firstly, I classified these stone tools using the attributes which are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as reflecting the time difference. Secondly, transition of combinations of these materials were examined in the Hoseo, Honam and Yeongnam areas. As a result, although there are some parallels between the types of stone tools, basically they show the similar changes with time both in cemetery and settlement sites. The chronological periods are established by the appearance of grooved axes and triangle harvesting knives, which divide the phase Ⅰ from Ⅱ, and Ⅱ from Ⅲ, respectively. This way of changing can be explained by development of function and labor-saving in production, being raised from development of food acquisition such as crop cultivation and hunting/gathering, increase of armed conflicts, establish of stone tool mass production. According to this chronology, the stone tools in the Late Bronze Age seem to be gradually changed from that of the Early Bronze Age, without any simultaneous appearance of new stone tool kits. Possibly it supports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as to the origin of Songguk-ri culture. However, only by this study on stone tool analysis, it is quite difficult to lead a definitive conclusion to this controversy as the opposing diffusion theory has been advocated based on the other materials such as pottery and subsistence patter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