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즘 (Korean Contemporary Novel and Local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5.04
29P 미리보기
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58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최병우

    초록

    한국현대문학이 전국의 로컬리티를 통합하여 민족문학적 성격을 형성해왔다는 점에서 로컬리티는 한국현대소설 연구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어왔다. 한반도 각 지방의 로컬리티가 가진 개별성을 파악하고, 로컬리티가형성된 배경을 추정하고, 그것이 소설로 형상화되는 양상을 밝히는 연구는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티와 관련한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될 것이다.
    한국현대소설을 중앙과 지방으로 나누어 살피는 지방문학 연구는 한국현대소설과 로컬리티와 관련한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이는 중앙 문단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연구 태도를 반성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지방문학으로 분류되어 소홀히 취급했던 작가․작품을 발굴하여 학계에 소개하고 평가하는 일은 한국현대소설을 풍성하게 하고, 한국현대소설 연구의 새로운장을 마련하게 해 줄 것이다.
    지방문학에 관한 연구는 그 의의에도 불구하고 중앙 문단과 지방문학을중심과 주변의 관계로 두고 대립적으로 바라본 그간의 시각을 벗어나야 할것이다. 서구문학을 중심에 두는 세계문학과 지역문학과의 관계는 탈식민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나, 한국현대소설은 지방문학이라는 부분을 통합해민족문학이라는 중심을 형성했다는 점에서 동일한 시각으로 접근하기에는무리가 따른다. 이런 점에서 지방문학에 관한 연구는 중앙과 지방을 상보적인 관계로 바라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한국현대소설 연구는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한국 거주 중국조선족, 북한이탈주민, 화교, 혼혈인 등 소수자를 다룬 소설에 대한 로컬리즘과 관련한 접근이 요구된다.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소수자 문제는 로컬리즘과 일치하는 영역은 아니지만, 소수자들을 중심과 주변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로컬리즘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그 연구의필요성을 인정된다.

    영어초록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has formed its character of national literature by integrating localities throughout the country, and in this sense, locality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 of research on Korean contemporary novels. Understanding the individuality inherent in the locality of each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exploring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such locality, and analyzing the pattern that the locality is represented in novels will be crucial research themes related to Korean contemporary novels and locality.
    It is one of important research efforts related to Korean contemporary novels and locality to divide Korean contemporary novels into central and provincial ones and to inquire into provincial literature.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past research attitude that has focused on the central literary circle. Efforts to excavate writers and their works that have been neglected as provincial literature, to introduce them into the academic circle, and to evaluate them will enrich Korean contemporary novels and open a new ground for research on Korean contemporary novels.
    Despite these meanings, research on provincial literature should give up the past perspective that considers the central and provincial literary circles to be in a center‐periphery relation and views them as confrontational to each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world literature and local literature in which Western literature occupies the central position requires a post‐colonial approach, but the same approach is not applicable to Korean literature because Korean contemporary novels have formed the core of national literature by integrating provincial literature.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for research on provincial literature to assume the attitude of viewing the center and the provinces as complementary to each other.
    Research on Korean contemporary novels needs to make localism related approaches to novels that deal with minorities found in Korean society such as migrant workers, married immigrant women, Chinese Choseonjok living in Korea, North Korean defectors, Chinese residents, and mixed‐blood people. Minority issues observed in Korean contemporary novels are not coincident with localism, but such approaches may be necessary because if minorities are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enter‐periphery relation, they may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loc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