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산리(麻山里)의 지명 (Place-names in Masan-r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08.08
27P 미리보기
마산리(麻山里)의 지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57권 / 57 ~ 83페이지
    · 저자명 : 정민영

    초록

    지명은 민족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지명도 우리에게 많은 사실을 알려주지만, 기록되어 전하는 지명은 당대의 언어나 문화 현상을 더욱 확실히 보여 준다. 그러나 면 단위보다 더 작은 지역의 지명에 관한 현전 기록은 많은 편이 아니어서 소지명의 연구는 대부분 현지조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본 논의는 마산리(麻山里)의 소지명 42개를 조사하여 정리한 것이다. 마산리(麻山里)의 지명은 거의가 지명의 보편적 구성 형식을 갖추고 있다. 전부요소는 후부요소를 수식해 주면서 지명의 유연성을 나타내고, 후부요소는 대상을 지시하며 지명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 지역 자연마을 이름에는 ‘谷’을 뜻하는 고대국어 ‘실’과 ‘山’을 뜻하는 신라어 ‘매’가 유지되고 있다. 마을 이름의 후부요소로는 ‘실, 산, 터, 평’ 등이 나타난다.
    골짜기 이름의 전부요소로는 ‘촉새, 무녀, 피, 큰, 뒷, 망, 나가막, 덕, 새터, 이신’ 등이 나타난다. 이들은 대개 ‘지형, 방위, 사물, 크기, 높이, 사건, 인물’ 등을 나타내고 있다. 골짜기 이름의 후부요소로는 ‘골, 울, 구렁팅이, 구레’ 등이 쓰이고 있는데 ‘골’이 가장 우세하다. 이 ‘골’은 고구려어 ‘忽’에서 비롯된 지명 요소이며 ‘울’로 실현되기도 한다.
    고개 이름의 전부요소로는 ‘사물, 모양, 마을’ 등과 관련된 지명 요소가 나타나며, 후부요소로는 ‘개목쟁이’ 한 곳을 제외하고 모두 ‘고개’가 쓰이고 있다.
    들 이름의 전부요소로는 ‘위치, 속성, 모양, 사물, 마을’ 등과 관련된 지명 요소가 나타나며, 후부요소로서는 ‘들, 무링이, 배미’ 등이 쓰이는데, ‘들’이 가장 우세하다. 들 이름으로서는 ‘뺑들’의 전부요소로 쓰인 부사 ‘뺑’의 존재가 특이하다.
    산등성이 이름의 후부요소로는 ‘등이, 봉, 산’ 등이 존재하며 그 이외에 길이나 방죽, 다리 등의 이름들은 대체로 그것들이 위치하고 있는 지명을 전부요소로 하여 만들어진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마산리(麻山里)의 소지명은 대부분이 고유어 지명이다. 그리고 지명 요소로 쓰인 어휘들도 일상적 기초어휘들이며 몇몇의 고어가 유지되고 있어서 훌륭한 국어 어휘 자료가 되고 있다. 이들을 더 정밀하게 분석하고 정리하여 기록해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현지조사 결과 나타난 소지명의 자료 제시 수준에 머무르고 말았지만, 앞으로 더욱 철저한 고증과 해석을 바탕으로 한 치밀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nd record the place-names in Masan-ri, Maengdong-myeon, Eumseong-gun, Chungcheongbuk-do. Place-name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cultural heritages of a nation's culture. While most of orally transmitted place-names tell us much about their cultur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written place-names do the same function more certainly. But few place-names of a very small area have been kept recorded. So, in order to get place-names of small area we cannot but depend upon some native informants.
    A front place-name element and a back place-name element are combined to form the place-names of Masan-ri. Most of the front place-name elements not only modify the back place-name elements but represent the motivations of the place-names. And those back place-name elements make reference to the places named and form the essence of the place-names.
    The details of the place-names in Masan-ri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 a few pure Korean vocabulary such as ‘Sil’ and ‘Mae’ in the name of natural villages. They originated from ancient Korean. And some elements like ‘Sil’, ‘San’, ‘Teo’, ‘Pyeong’ are used as back place-name elements.
    Second, ‘Choksae’, ‘Munyeo’, ‘Pi’, ‘Keun’, ‘Dwit’, ‘Mang’, ‘Nagamak’, ‘Deok’, ‘Saeteo’, ‘Isin’, etc. were found to form the front place-name elements for the name of a valley. And as back place-name elements ‘Gol’, ‘Ul’, ‘Gureongtingi’, ‘Gure’, etc. were found.
    Third, front place-name elements of the name of a mountain pass are those words related to things, shapes, villages, etc. And most of the back place-name elements are ‘Gogae’.
    Fourth, front place-name elements of a field name are those words related to the location, the attribute and the shape of the field, and related to some specific things or the villages. And ‘Deul’, ‘Muringi’, ‘Baemi’ and others appear as back place-name elements.
    Fifth, back place-name elements of a ridge name are ‘Deungi’, ‘Bong’, ‘San’ and so on. And most of the front place-name elements in pond names and bridge names are formed to indicate the name of the village where they belong to.
    As a conclusion, most of the place-names in Masan-ri are pure Korean. Most of the place-name elements are ordinary vocabulary. And what is more, place-names of this area are valuable Korean vocabulary materials because some ancient Korean vocabulary are found in the place-names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