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시열의 이황 ‘리발’ 비판에 대한 고찰 (Study of Song Si Youl(宋時烈)’s Criticism on Lee Hwang(李滉)'s 'LiBal(理發)')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4.06
27P 미리보기
송시열의 이황 ‘리발’ 비판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30권 / 1 ~ 27페이지
    · 저자명 : 김승영

    초록

    이 논문은 송시열이 이황의 ‘리발’의 명제를 부정하는 관점을 문헌학적 비평과 철학적 해석을 가지고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문헌학적 비평에서는 이황은 자신의 명제인 ‘리발’이 주희의 성리학적 범주에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단은 리의 발함이고 칠정은 기의 발함이다.” “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朱子語類』 권53)라는 주희의 언설을 발견하게 되고 자신이 고안한 ‘리발’의 전거로 제시한다. 그러나 송시열은 이것이 보광의 오기로 규정하여 부정하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주희가 ‘리발’을 주장하지 않았다고 단정하고 이황의 ‘리발’을 비판한다. 그러나 이것은 단장취의한 것임을 입증하였다. 그렇다면 이런 주장을 하게 된 배경에는 철학적 해석이 존재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고찰하였다.
    송시열의 철학적 해석은 사단의 문제를 ‘중절’의 관점에서 파악한다. 그리고 이 ‘중절’의 도구를 사용하여 ‘리발논변’에 섰던 선대 철학자를 비판한다. 또한 그는 ‘사단부중절설’을 자신의 독특한 사유임을 부각시키지만 이마저도 이미 이황이나 이이가 언급한 사안이고 보면 그리 설득력을 얻지 못함을 논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사단도 선악이 있기 때문에 ‘中節’과 ‘不中節’이 있다는 것을 주희의 이론을 끌어다 주장하는 것은 사단이든 칠정이든 모두 현상계에서 도덕 감정을 판단하겠다는 논리이다. 그리하여 사단․칠정은 나눌 수 없고, 리기는 모두 기가 발한 것이며, 리는 그 가운데 있다는 결론이다. 사단이 순선해서 그대로 발현되기에 ‘리발’이라고 주장하는 이황의 이론에 정면으로 비판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rgues that contradict on Yi Hwang(李滉)'s 'Libal(理發)' proposition through literature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First, according to the literature criticism, Yi Hwang catched "Sadan(四端) is from Li(리) and Chiljung(七情) is from Ki(氣)" which is Zhu xi's arguments while Yi Hwang checked his proposition whether 'Libal(리발)' is included in Neo-confucianism or not. However, Song si-yeol could not believe it because he thought Bo gwang miswrote it. Furthemore, he criticized Yi Hwang's 'Li bal(理發)' predicting Ju hee didn't maintain 'Libal(理發)' opinion. However it is proved wrong. Therefore, there are must exist for the reason of argument with Neo-confucianism.
    Song si-yeol asserted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came from 'Chungjul(中節)' on Sadan. He offerd criticism on 'Libal(理發)‘ pre-philosopher through tool of 'Chungjul(中節)'. His arguments lacks persuasion because Lee Yi(李珥) and Yi Hwang was already mentioned it. He insisted Sadan also had right and wrong.
    It can't be divided into Sadan(四端) and Chiljung(七情), Li(理) and Ki(氣) are all from Ki, and Ki is in the middle of it. It is definetly against of Yi Hwang insisting Li bal of the fact that Sa dan is go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