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호학은 주자학의 미분화적 사고를 탈피했는가-리 개념의 분화 현상을 중심으로 (Did Seonghohak(星湖學) depart from the undifferentiated thinking of Zujahak (朱子學)?-Focusing on the segmentation phenomenon of the Li (理))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3
28P 미리보기
성호학은 주자학의 미분화적 사고를 탈피했는가-리 개념의 분화 현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9호 / 113 ~ 140페이지
    · 저자명 : 최정연

    초록

    이 글은 성호학에서 리 개념이 분화된 구체적 실태를 검토하여 성호의 사유를 평가하는 기존 연구의 엇갈린 시선을 점검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성호의 문집에 나타난 용례들을 취합하여 임의로 범주를 구분하고 그에 해당하는 명칭들을 정리했다. 그리고 성호의 관점에서 다시 이들을 분류하여 그가 자연과 심을 기준으로 리를 구분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성호는 리 개념을 대략 ‘자연에서 실현되는 리’와 ‘심에서 실현되는 리’로 구분했지만, 그의 리 개념에는 의미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성호의 리 개념에 포함된 의미들이 전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성호가 태극과 일리의 실체를 부정하고 개별 리만 인정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여 재확인했다. 검토를 통해 확인한 사실은 그가 주자와 마찬가지로 태극과 일리의 존재와 역할을 인정했다는 것이다. 그의 사유에서 태극과 일리는 자기 복제를 통해 만물에 내재되었고 만물은 통합된 질서에 제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단일한 유기체를 이루었다. 이는 성호학이 주자학을 탈피하려고 시도하거나 거부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성호의 사유에 심의 유무를 기준으로 리의 의미와 기능을 구분하려는 시도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도 사실이다. 시도의 이유는 근대과학의 선취나 주자학적 사유의 이탈이 아닌, 그를 둘러싼 인문 환경이 조성한 학술 논쟁에서 찾을 수 있다. 원인은 여러 가지로 설명될 수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그 후보 중 하나로 사칠 논쟁을 제안했다. 성호는 퇴계설을 보완하고 율곡설을 논박하는 것을 그의 학술적 과제로 삼았다. 자연과 심의 패턴의 차이에 기초해 육신과 심의 기능적 차이를 강조한 그의 주장은, 자신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기초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scholars who studied Seongho Yi Ik (1681~1764)'s concepts focused on the remarkable differentiation of Seongho's Li (理). They understood differentiation as a severance between Wu-li (物理) and Dao-li (道理), nature and humanities, and facts and values.
    Also,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Li concept, they evaluated that Seonghohak (星湖學) was moving away from the Zuja's unified worldview and moving toward modern thinking. On the other hand, other researchers argued that there was no inevitable reason for Seongho to preempt European scientific knowledge, and that subdivision phenomenon of Li did not appear for the purpose of dismantling Zujahak.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mixed views of previous studies and to infer the point of the idea and plan of Seonghohak. To this end, in Chapter 2, we checked the manner in which Seongho classified Li, and reviewed from the fundamental stages whether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of previous studies suits it. In Chapter 3, Seongho's concept of Tai-ji (太極) and Yi-li (一理) was analyzed in detail to examine whether he deviated from the undifferentiated thinking of Zujahak. Subsequently, in Chapter 4, the reason for Seongho's differentiation of Li was inferred by linking it with his wonderings and contemplation of Toegye's Li-issuance (理發)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