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浦項中城里新羅碑에 보이는 ‘喙部’와 6部의 性格 (A Study on Characters of Heobu(喙部) and Six Bu(六部) in View of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浦項中城里新羅碑))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4.04
28P 미리보기
浦項中城里新羅碑에 보이는 ‘喙部’와 6部의 性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16호 / 59 ~ 86페이지
    · 저자명 : 김희만

    초록

    신라 최고의 금석문인 포항 중성리신라비가 발견된 이후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왔다. 비문의 판독부터 그 해석 및 이와 연관된 내용을 검토하여 신라사 연구에 새로운 이해에 도움이 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렇지만 비문에 보이는 내용 가운데 끊어 읽기가 애매하거나 부명으로 추정되는 喙에 대한 다양한 표기가 문제로 대두됨으로써 비문의 해석에 올바른 실마리를 찾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 글에서는 중성비에 두 번 등장하는 ‘喙部’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 바, 먼저 ‘部’의 관칭이 6부의 지배세력화과정을 보여주는 단초로서의 역할과 행정구획화의 시작을 알려주는 내용이 담겨져 있음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증왕의 즉위과정도 다시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喙部’의 의미를 다른 부와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기존의 6부 이해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는 냉수비와 봉평비에 보이는 부명과 관등 및 관직체계를 분석함으로써, 역으로 중성비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논의를 하였다.
    그 결과 ‘喙部’의 사용은 지증왕이 왕위에 등극하였지만 기존 소지왕대의 정치세력이 그 부명을 관칭하면서 이 비문에 그대로 기재된 반면, 沙喙라 하여 부명을 관칭하지 않은 세력은 지증왕의 즉위 후에도 아직 그 주도권이 ‘喙部’에 남아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는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지향하는 왕권의 소산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喙部’의 부 관칭 양상은 그 자체 6부의 지배세력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기존 6부세력의 행정구획화를 시도하는 과정의 반영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전제 아래 이후 보이는 喙와 沙喙 그리고 本波 등의 부를 관칭하지 않은 부명은 지절로갈문왕의 주도 하에 진행되는 교의 주체, 집행자, 본모자, 쟁인, 판결의 집행자, 비문의 작성자, 비문 각자 등으로 기록되었으며, 6부의 명칭과 유사하게 인식한 몇몇 喙를 어미로 하는 6부 관련 내용은 비문이 작성될 당시의 정황으로 볼 때 결코 가능할 수 없는 사항이라고 보았다. 그것은 냉수비와 봉평비에 보이는 6부의 질서체계와 율령의 반포를 통한 관등, 관직체계의 정연한 과정이 중성비를 통해 비로소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thesis reviews the previous researches on characters of Heobu(喙部) and Six Bu(六部) in view of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浦項 中城里新羅碑, 501). This stone monument is the oldest in Silla Dynasty and includes various contents in Silla history, especially 5~6 century political and social matters.
    This article noticed meaning of the Heobu(喙部) in view of stone monument, I suggest that use of this Bu(部) shows differentiation process, administrative district process and enthronement process of King of Jijeung (智證王). Ever found Stone Monument, Nangsubi(冷水碑, 503) showed contents of have no Bu and Bongpyungbi(鳳坪碑, 524) contents contained Bu.
    Moreover this stone monument confirmed name of several Six Bu(六部), for example Heo(喙), Saheo(沙喙), Bonpa(本波) and Modanabulheo(牟旦伐喙), Bonpaheo(本波喙) etc.. But I think that Modanabulheo(牟旦伐喙), Bonpaheo(本波喙) etc. are not contained Six Bu(六部). Because Bu of this stone monument cross correlated Bu in view of contents of Nangsubi and Bongpyungbi.
    Next, Characters of Six Bu(六部) are the relation between Segment political unit(單位政治體) and Administrative district(行政區劃化) process, in special this times estimated Administrative district process advanced. This stone monument confirmed such reality, Silla social changes, further more operation of Official Rank, Official Post, Golpum System on promulgation uniform code of law in Silla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