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月波 鄭時林의 主理說 — 交遊關係와 「猥筆」 論辨을 중심으로 — (Wolpa(月波) JungSirim(鄭時林)’s theory of JuLi(主理) - focus on social relationship and Oepil(猥筆) argument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2
34P 미리보기
月波 鄭時林의 主理說 — 交遊關係와 「猥筆」 論辨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105호 / 75 ~ 108페이지
    · 저자명 : 조우진

    초록

    月波 鄭時林(1839~1912)은 安貧樂道의 삶을 추구했던 구한말 호남 寶城의 유학자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蘆沙 奇正鎭(1798~1879)을 만나기 전 梅菊堂 廉相龍(1794~1850)에게 1년 정도 배웠을 뿐 20년 동안 經典을 스승으로 삼아 독학했다. 그런데 그는 노사를 만나면서 主理的 성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현실을 이해했고, 당대 최고의 지식인들과 交遊關係를 통해 자신의 학문 체계를 구축했다. 그 결과 보성에 성리학을 보급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교화와 후진 양성에 이바지했다.
    특히 월파는 20세기 초 핵심 논쟁에 관심을 집중하면서 「猥筆相質說」을 지어 「猥筆」의 본뜻을 밝혔으며, 孔子 → 朱子 → 栗谷 → 蘆沙로 연결되는 道統을 主理의 축으로 이해했다. 월파가 이해하는 주리는 ‘시키는 것처럼[使之然]’ 하는 所以然이며,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는 묘[不得不然之妙]’이다. 그래서 그는 주리적 입장에서 윤리적 가치인 선을 실현하는 리의 주재성을 강조했으며, 당시의 시대 상황에서 사람이라면 취해야 태도와 학문에 힘써야 할 이유를 리의 주재성에서 찾았다. 월파가 제자로서 스승의 성리학적 사유를 바르게 계승했다는 것은 의의가 있지만, 스승의 비판적 사유를 더욱 발전시키지 못했다는 것은 아쉬운 점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Wolpa(月波) JungSirim(鄭時林, 1839~1912) was a Confucian scholar and educator pursued contentment with poverty and delight in the Way(安貧樂道) in Honam Boseong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efore meeting Nosa(蘆沙) Ki Jeongjin(奇正鎭, 1798~1879), he regarded Chinese classics(經學) as his teacher and taught himself for 20 years, only learning from Maegukdang(梅菊堂) Yeom Samryong(廉相龍, 1794~1850) for about a year. While meeting with Nosa(蘆沙), he understood the reality based on the JuLi(主理) centered theory of Neo-Confucianism and established his own academic system through social relationship with the best intellectuals of his time. As a result, it played a role in disseminating Neo-Confucianism in Boseong and contributed to the enlightenment and junior’s education in the local community. In particular, Wolfa(月波) wrote OepilSangjilseol(猥筆相質說) in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his attention on key debates, revealing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Oepil(猥筆), and understanding DaoTong(道統) leading to Confucius → Zhuizhu → Yulgok → Nosa at the axis of JuLi(主理).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후